사무·전문직 2030여성 보이스피싱 주 타깃
입력
수정
지면A33
"선생님이시죠?"…검·경·금감원 사칭 전화 기승기간제교사인 20대 A씨는 지난 7월 검찰청 직원으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수화기 너머 상대방은 “당신 명의의 계좌가 불법 자금 사건에 연루됐다”며 “불법 자금인지 확인하기 위해 모두 출금해 금융감독원 직원에게 전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사회경험 부족·무관심 영향
그는 “오늘 조사받지 않으면 구치소에 수감될 수 있다”고 위협하며 검찰청 공문을 휴대전화로 전송하기도 했다. 계좌의 2400만원을 2만달러로 환전해 전달한 뒤 금감원을 방문하고서야 보이스피싱 사기였음을 알아차렸다.
20~30대 전문직 여성을 표적으로 보이스피싱이 기승이다. 금감원이 9월 한 달간 검찰 경찰 금감원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피해자 중 피해금이 1000만원 이상인 20∼30대 여성 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일반사무직이 52.9%(27명)로 가장 많았다. 교사 간호사 등 전문직도 21.6%(11명)에 달했다.
이들이 표적이 되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사회 경험이 부족해 의심이 적어서라는 분석이다. 또 스스로 전문직이라고 생각할수록 범죄와 무관하다고 믿어 잘 속는다는 진단도 나온다.
경찰 관계자는 “전화로 정부기관이라며 자금이체나 현금 전달을 요구하면 100% 보이스피싱”이라고 지적했다.
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