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대, '간도의 대통령 규암 김약연 선생' 재조명 전시회
입력
수정
한신대의 규암 김약연 선생 재조명 전시회 포스터.한신대 제공
한신대학교는 오는 24일까지 교내 샬롬채플 로비에서 특별기획 '항일독립운동의 기지 북간도와 기독교 그리고 한신대학교' 전시회를 연다고 2일 발표했다. 전시회에서는 '간도의 대통령'이라 불렸던 규암 김약연 선생도 재조명한다.
전시회는 (사)규암김약연기념사업회가 주관해 열린다. 사진전은 김 선생이 북간도에 세운 민족공동체를 기반으로 항일독립운동 지사를 양성하고 북간도의 기독교와 한신의 관계를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진 60여 점이 5부로 나눠 전시된다. 1부 '북간도에 세운 이상향 명동촌'에서는 북간도의 신학문과 민족교육이 뿌리를 내린 명동촌을 조명한다. 제2부 '항일민족정신 함양 북간도 민족학교'는 명동학교를 비롯한 은진중학교, 명신여학교 등 항일독립정신의 자양분으로서 항일의식을 함양해 독립 운동지사를 배출한 민족학교를 소개한다.
3부에서는 '북간도 한인조직과 항일 독립운동 그리고 용정'에서는 1919년 용정 서전평야에서 일어났던 3.13만세운동을 기점으로 본격화된 북간도의 독립운동과 무장독립투쟁의 결과인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대첩을 조명했다.
4부는 '일제의 북간도 한인 탄압과 경신참변'에서는 일제의 북간도 독립군 토벌과 한인 탄압의 선봉인 일본군 나남 19사단 보병 75연대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5부에서는 '항일독립운동 기지, 북간도 기독교와 한신대'는 지금까지 크게 논의되지 않았던 북간도 항일운동을 지탱했던 기독교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한다.
간도의 대통령이라고 불린 규암 김약연 선생은 명동촌에 터전을 마련하고 기독교 정신과 민족교육에 앞장섰다.
그가 지닌 불굴의 독립의지와 민족정신은 장공 김재준(1901∼1987) 목사의 삶과 신앙에도 깊은 영향을 끼쳤다. 한국기독교장로회(이하 기장)와 한신대학교의 뿌리 격인 장공은 1936년 8월부터 은진중학교에서 교목 겸 성경교사로 섬겼다. ‘북간도 기독교’를 이루는 이들이 한신대와 기장의 초석을 다진 셈이다.
연규홍 총장은 "전시회는 일제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간도를 새 민족공동체로 건설하려는 노력, 민족의식을 일깨워 준 선진적인 민족교육, 항일독립운동의 기지를 만든 간도 한인공동체의 이야기와 독립운동가들의 활동, 북간도 기독교와 한신대학교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마련했다”며 “전시회가 한신대학교의 비전, 미래 한국의 희망을 기대하는 계기다 될 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산=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한신대학교는 오는 24일까지 교내 샬롬채플 로비에서 특별기획 '항일독립운동의 기지 북간도와 기독교 그리고 한신대학교' 전시회를 연다고 2일 발표했다. 전시회에서는 '간도의 대통령'이라 불렸던 규암 김약연 선생도 재조명한다.
전시회는 (사)규암김약연기념사업회가 주관해 열린다. 사진전은 김 선생이 북간도에 세운 민족공동체를 기반으로 항일독립운동 지사를 양성하고 북간도의 기독교와 한신의 관계를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진 60여 점이 5부로 나눠 전시된다. 1부 '북간도에 세운 이상향 명동촌'에서는 북간도의 신학문과 민족교육이 뿌리를 내린 명동촌을 조명한다. 제2부 '항일민족정신 함양 북간도 민족학교'는 명동학교를 비롯한 은진중학교, 명신여학교 등 항일독립정신의 자양분으로서 항일의식을 함양해 독립 운동지사를 배출한 민족학교를 소개한다.
3부에서는 '북간도 한인조직과 항일 독립운동 그리고 용정'에서는 1919년 용정 서전평야에서 일어났던 3.13만세운동을 기점으로 본격화된 북간도의 독립운동과 무장독립투쟁의 결과인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대첩을 조명했다.
4부는 '일제의 북간도 한인 탄압과 경신참변'에서는 일제의 북간도 독립군 토벌과 한인 탄압의 선봉인 일본군 나남 19사단 보병 75연대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5부에서는 '항일독립운동 기지, 북간도 기독교와 한신대'는 지금까지 크게 논의되지 않았던 북간도 항일운동을 지탱했던 기독교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한다.
간도의 대통령이라고 불린 규암 김약연 선생은 명동촌에 터전을 마련하고 기독교 정신과 민족교육에 앞장섰다.
그가 지닌 불굴의 독립의지와 민족정신은 장공 김재준(1901∼1987) 목사의 삶과 신앙에도 깊은 영향을 끼쳤다. 한국기독교장로회(이하 기장)와 한신대학교의 뿌리 격인 장공은 1936년 8월부터 은진중학교에서 교목 겸 성경교사로 섬겼다. ‘북간도 기독교’를 이루는 이들이 한신대와 기장의 초석을 다진 셈이다.
연규홍 총장은 "전시회는 일제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간도를 새 민족공동체로 건설하려는 노력, 민족의식을 일깨워 준 선진적인 민족교육, 항일독립운동의 기지를 만든 간도 한인공동체의 이야기와 독립운동가들의 활동, 북간도 기독교와 한신대학교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마련했다”며 “전시회가 한신대학교의 비전, 미래 한국의 희망을 기대하는 계기다 될 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산=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