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부총재 "경기개선에도 근원물가 1%대 중반 머물러"

"중앙은행, 인플레 목표 안착과 금융안정 사이에 정책딜레마 빠질수도"

한국은행 윤면식 부총재는 3일 국내 경기가 꾸준한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을 나타내는 근원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1%대 중반에 머물고 있다고 진단했다.
윤 부총재는 이날 서울대에서 개최된 '한은-서울대 금융경제연구원' 주최 국제 콘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최근 인플레이션 동학의 변화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콘퍼런스에서 윤 부총재는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 경기개선 추세에도 낮은 물가 수준이 지속됨에 따라 통화정책 완화기조 축소 시기와 속도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목표에 안착시키는 과제와 거시경제·금융시스템 안정화 도모 과제 사이에서 정책선택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이는 경기가 살아나며 금융불안정에 대응할 필요가 있지만,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 미달하는 상황에서 금리정책 운용이 어려움을 말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불안정에는 금리를 올려서 대응하고, 물가상승률이 낮으면 금리를 내려서 경기를 끌어올린다는 처방이 상충하는 상황인 것이다.

최근 한국 경제는 올해 3%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물가상승률은 그만큼 올라가지 않고 있다.즉, 경기가 개선되면 수요가 늘어나 물가가 상승한다는 공식이 확인되지 않는다.

윤 부총재는 이와 같은 경기와 물가간 상이한 변동행태의 원인을 찾으려는 논의가 활발하다고 전했다.

대표 주장으로는 기업간 경쟁심화와 노동시장 구조변화, 물가안정기조 정착으로 임금과 가격 결정에서 경기상황 반영 정도가 낮아졌다는 견해가 있다.실업률이 떨어지면 임금이 오르고 물가상승률은 높아진다는 '필립스곡선'이 성립하지 않게 됐다는 것이다.

또, 인플레를 낮추는 구조적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도 소개했다.

기대물가 수준이 낮아지거나 유통혁신과 기술진보 등 공급충격이 가해지며 물가상승률이 구조적으로 낮아진다고 보는 시각이다.

반면 경기와 물가간 괴리가 고착화된 현상이 아니라는 견해도 전했다.경기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일시 축소될 수 있다거나 경기와 물가간 파급시차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