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풍 거센 우리은행… "완전 민영화가 해법"

정부가 지분 갖고 있어
낙하산 인사청탁 줄이어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지난 2일 ‘특혜 채용 비리 의혹’에 책임을 지고 사퇴했지만 일각에서는 정권 교체에 따른 물갈이 인사 조치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정부가 우리은행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보니 정권 교체 때마다 고질적인 외풍에 시달려왔기 때문이다.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의 잔여지분(18.52%)을 매각, ‘완전한 민영화’를 달성하는 게 우리은행의 어두운 과거를 치유하는 유일한 방법이란 게 금융계의 중론이다.

우리은행은 유독 외풍이 심한 금융회사다. 신입행원을 뽑는 공채 시즌이면 금융감독원, 국가정보원 등에서 채용 청탁에 시달리고 차기 행장 선출 시기가 다가오면 정치 인맥의 힘을 빌려 발탁되는 사례가 빈번했다.최근 특혜 채용 의혹이 불거지기 전부터 금융권에서는 우리은행장 교체설이 무성했다. 올초 연임해 임기가 1년 반 가까이 남았는데도 ‘서금회(서강대출신금융인모임)’ 멤버로 오해받아 정부에서 끌어내리기 작업을 한다는 얘기가 나돌기도 했다. 이 행장이 경영을 맡은 시기 우리은행은 실적이 크게 개선되고 주가도 많이 올랐다. 그는 하반기 경영전략회의에서도 정부 잔여지분 매각 이후 지주사 전환 의지를 강력하게 나타냈지만 ‘특혜 채용 비리’가 불거지면서 물러났다.

지난해 11월 민영화 이전 우리은행은 ‘정부 소유 은행’으로 인식되면서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우리은행장 자리는 외부 인사들이 차지했다. 역대 우리금융지주 회장(4명) 및 우리은행장(6명) 가운데 황영기 전 회장 겸 행장, 박병원 전 회장, 이덕훈 전 행장, 박해춘 전 행장은 외부 출신이다. 옛 한일은행 출신인 이팔성 전 회장은 우리투자증권 대표 임기를 마치고 우리금융그룹을 떠났지만 4년 만에 이명박 정부의 입김으로 지주 회장에 올랐다.

금융계에선 이런 일이 되풀이되지 않으려면 예보가 보유한 우리은행 잔여지분을 처분해 ‘정부 소유 은행’ 타이틀을 떼야 한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11월 금융위원회는 예보가 보유한 지분 51.06% 가운데 29.7%를 과점주주 매각 방식으로 IMM인베스트먼트PE와 한국투자증권, 한화생명 등 과점주주에 쪼개 팔았다. 잔여지분을 이른 시일 내 정리한다는 방침이었지만 1년이 되도록 지체되고 있다.우리은행은 5개 과점주주가 사외이사를 파견해 의사결정을 내리는 ‘집단경영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이번 차기 행장 선임도 이들 사외이사 5명으로 구성된 임원추천위원회가 맡을 예정이지만 여전히 정부의 영향력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가 정권 교체와 맞물려 우리은행 내 주도권을 지속하기 위해 일부러 매각작업을 늦추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