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차이나' 전략… 센카쿠 열도 분쟁 이후 시장 다변화 성공한 일본서 배운다

한국이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문제로 대두된 ‘중국리스크’를 줄이고 시장 다변화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선진국과 아세안 지역, 중국 시장에 각기 다른 전략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9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표한 ‘일본을 통해 본 차이나 리스크 대응 전략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2012년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 이후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 유럽, 아세안 등으로 시장 다변화에 성공했다. 2012년 센카쿠 열도 분쟁이 심화된 직후인 2013년 일본의 대중(對中) 투자는 32.5% 감소한 반면 미국·유럽 등 선진국, 아세안으로의 투자는 각각 36.7%, 121.3% 증가했으며 현재까지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일본은 지역별로 접근 방식에 차이를 뒀다. 미국, 유럽 지역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을 인수·합병(M&A)하는 등 기술경쟁력 확보처로 활용했다. 소프트뱅크는 영국 반도체 설계회사 암홀딩스를 310억 달러에 인수했다. 일본 도요타는 지난해 미국에 AI 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하고 미시간 대학 등과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아세안 지역은 중국의 대체 생산기지이자 차세대 소비시장으로 인식했다. 공적개발원조(ODA), 다자·양자간 FTA, 지방정부까지 활용해 일본 기업의 현지 진출을 지원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의존도를 낮추면서도 시장의 중요성을 고려해 자국 기업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전략을 택했다. 일본의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현지 수요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해 중국 시장 내 일본의 입지를 일정 수준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일본 기업들이 시장 다변화에 성공한 상황에서 아세안 지역에서 한·일 기업간 경쟁이 심화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과거 태국에 주로 진출했던 일본 기업이 베트남 등지로 영역을 넓히면서다. 이은미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기술력 확보를 위해 미국·유럽과 협력을 강화하고, 현지 수요 맞춤형 서비스·제품 개발로 중국 시장 내 입지를 유지하는 등 국내 기업의 전략 다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