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롱패딩' 대박 비결…가성비 갑에 아이돌 효과

가성비+디자인+스타 '3박자'

14만9000원에 출시하자 "품질 좋은데 가격 저렴"
로고 없는 심플한 디자인…선미·하니 입은 후 판매 급증
롯데백화점 기획력에 협력사 신성통상 제품력 결합
평창 패딩을 사기 위해 롯데백화점 잠실점에 줄 선 소비자들. /롯데백화점 제공
지난 18일 아침 9시. 영하로 뚝 떨어진 날씨에도 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 본점 앞엔 개점이 1시간30분이나 남았는데도 1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줄을 서 있었다. 10대 청소년부터 50대 학부모까지 연령층도 다양했다. 맨 앞에 선 사람은 새벽 2시30분부터 줄을 섰다고 했다. ‘평창 롱패딩(벤치파카·사진)’을 사려는 사람들이었다.

◆오래된 협력사 신성통상의 지원2018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라이선스 상품인 롱패딩의 인기가 폭발적이다. 백화점 부문 공식 후원사인 롯데백화점과 의류 전문 기업 신성통상이 협력해 제작했다.

처음엔 롯데백화점 본점, 잠실점 등 19곳과 서울역 인천공항 김포공항 등에 마련된 올림픽 상품 공식 매장과 온라인에서 제품을 살 수 있었다. 그러나 지난 16일 수천 명이 매장으로 몰리면서 1차로 준비한 물량이 모두 동났다. 판매를 일시 중단하고, 제품이 재입고된 롯데백화점 본점 등에서 18일 판매를 재개했다.

평창 롱패딩 ‘대박’의 첫 번째 비결은 ‘가성비(가격 대비 품질)’다. 거위 솜털 80%, 깃털 20%를 써 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난데 가격은 14만9000원. 비슷한 제품의 절반 정도다. 이런 소재를 쓰면 최소 20만원을 넘고, 보통 40만원에 육박한다. 명품 브랜드는 100만원을 훌쩍 넘는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4월 롱패딩의 콘셉트와 가격부터 정했다. 심플한 디자인과 롱패딩을 사는 데 덜 부담스러운 가격으로 14만9000원이 결정됐다. 바이어들은 이때부터 협력업체 국내외 공장 10여 곳을 찾아다녔다. 대부분 “그 정도 가격엔 어렵다. 납기(10월 하순)를 맞추는 것도 쉽지 않다”며 손사래를 쳤다. 통상 제품 기획에서 생산까지 1년 이상 걸리는데 6개월 만에 끝마치기 어렵다는 얘기였다.

다급한 상황에서 롯데와 수십 년간 협력관계를 맺어온 신성통상이 나서줬다. 대신 롯데는 제품 판매에서 거둬들일 수 있는 마진을 포기했다. 롯데백화점은 인건비 관리비 등을 고려하면 롱패딩을 팔아서 남는 게 없다고 설명했다. ‘합리적이고 똑똑한’ 소비자들이 이런 제품을 그냥 놔둘 리 없었다. 가성비를 따지면 “말도 안 되는 가격”이라는 입소문이 퍼졌다.◆가성비와 스타가 만날 때

평창 롱패딩의 디자인도 젊은이들에게 먹혔다. 평창동계올림픽의 로고를 숨기는 대신 슬로건을 제품 겉면에 부각시켰다. 다른 제품들과 비교해 특별한 게 없고, 제품의 뒷면과 팔엔 ‘PASSION CONNECTED(하나 된 열정)’라는 슬로건을 새긴 게 전부다. 로고는 안쪽면 등 위에 들어갔다.

기업 등에서 회사 로고를 왼쪽 상단에 새긴 롱패딩을 지급하면 직원들이 잘 입지 않는다는 데서 착안했다. 롱패딩 겉면에 로고가 아니라 영문으로 된 슬로건을 넣으면 올림픽이 끝나도 계속 입을 것이라는 점도 고려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여러 차례 회의 끝에 로고를 겉에 넣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슬로건을 통해 소비자들도 ‘평창과 함께한다’는 공감을 불러일으키겠다는 디자인 전략을 담았다”고 말했다.가성비와 디자인만으로 평창 롱패딩의 성공을 설명하기는 부족하다. 평창 롱패딩이 출시된 지난달 26일만 해도 전 매장에서 하루 판매된 수량은 100~200장에 불과했다. 롯데백화점 내부에선 “망했다”는 얘기까지 나왔다.

슬슬 입소문이 나던 지난 4일이 기점이었다. 이날 열린 평창 드림콘서트에서 가수 선미와 EXID의 하니가 평창 롱패딩 하나를 같이 입고, 추위를 견디는 모습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노출됐다. 인터넷에서 평창 롱패딩 검색이 급증하고, 판매에도 불이 붙었다. 14, 15일엔 주요 포털사이트에서 평창 롱패딩이 검색 순위 1~2위에 오르기도 했다.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18일까지 판매된 롱패딩은 약 2만3000장이다. 나머지 7000장의 판매 장소 및 일정은 조만간 결정할 예정이다. 아동용(13만9000원)은 아예 남은 제품이 없다.

롯데백화점 측은 난감해하고 있다. 추가 생산해 달라는 민원이 빗발치고 있고, 현장에서 물건을 사지 못한 소비자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어서다.하지만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추가 생산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