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포항지진 진앙 주변 액상화 여부 한달 내 결론"

수능일 지자체-경찰-소방 '핫라인' 운영…의연금 100억원 달해
정부가 포항지진 현장에서 진행하는 액상화 조사 결론을 한달 내에 내리기로 했다.안영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통제관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사 연 브리핑에서 "지난 19일부터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기상청이 공동으로 '액상화 전담 조사팀'을 운영하며 진앙지 주변 현장조사에 착수했다"며 "조사와 분석이 이뤄질 때까지 한 달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포항지진 진앙지 인근에서 '액상화'로 추정되는 현상이 나타나, 지반약화에 따른 추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현장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액상화 조사가 완료되는 즉시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액상화 지역에 대한 조치 사항을 마련해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액상화란 강한 지진으로 지반이 흔들리면서 땅이 지하수와 섞여 물렁물렁해지는 현상이다.통상 매립지나 하천 유역 등 모래가 많은 연약 지반에서 발생하기 쉽다.

액상화가 일어나면 흔히 지하수가 땅 위로 분출되는 상황을 볼 수 있다.
정부는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일인 23일 지자체와 경찰, 소방 간 '핫라인'을 운영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로 했다.교육부는 포항 인근에 12개소 예비시험장을 준비했고, 수능일 아침에는 240대의 비상수송 버스를 배치해 혹시 있을지 모를 비상 상황에 대비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LH공사와 함께 이재민 숙소로 기존 160세대의 임대주택 외에도 50세대를 추가로 확보해 22일부터 입주할 수 있도록 했다.

주택 임대기간은 우선 6개월로 하되 지자체나 이재민이 임대기간 연장을 요청할 경우 이를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주택 피해가 추가로 속속 확인되면서 피해 규모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 피해를 본 사유시설은 9천70건으로, 이 중 8천293건이 주택 피해였다.

지붕 파손이 7천570건으로 가장 많은 가운데, 주택 '전파' 167건, '반파' 556건으로 잠정 파악됐다.

이밖에 상가 피해는 665건, 공장은 112건이었다.

정부가 파손된 민간시설의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응급조치를 한 경우는 8천146건으로, 89.8%의 응급복구율을 보였다.

정부는 진앙 인근의 다가구·다세대 주택 등 우선 점검 대상 주택 1천229개에 대한 1단계 안전점검을 벌여 이 중 305개소에 대한 점검을 완료했다.

점검 결과, 사용 가능한 주택은 274곳이었다.

나머지 31곳 중 27곳은 '사용제한', 4곳은 '위험' 판정이 내려졌다.

사용 가능한 주택은 입주자에게 이를 알리고, 사용제한 주택에 대해서는 2차 점검에 들어간다.

위험으로 분류된 주택에는 폴리스라인을 설치하고 2차 점검을 하게 된다.

이날부터는 민간전문가 24명을 추가로 투입해 총 150명이 나머지 주택에 대한 안전점검에 나선다.

공공시설 피해는 617건으로, 응급복구율은 93.8%를 보여 민간시설 복구율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전체 시설 응급복구율은 90.1%다.

정부는 22∼27일 피해 지역에서 '재난피해 합동조사단'을 가동해 정확한 피해규모를 파악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피해지역 복구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부상자는 소폭 늘어나 90명이 응급실을 찾았고, 이 중 15명은 입원치료를 받고 있다.

입원 환자 중 중상자는 1명으로, 낙석으로 인해 머리를 다쳐 수술을 받았으나 아직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부상자가 계속 늘어나는 데에는 가슴 통증 등 심리적 증상을 호소하는 주민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중대본은 전했다.

이재민 1천71명은 학교·복지시설 등 12개소에 분산 수용돼 있다.

전국에서 지진피해를 돕기 위한 의연금은 16일부터 현재까지 1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포항지진이 발생한 15일부터 전국에서 찾아온 자원봉사자는 9천393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