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만달러 넘었다…"제2의 튤립버블 vs 화폐개혁의 시작"
입력
수정
가상화폐 비트코인 가격이 1만달러를 돌파하며 세계 금융시장에서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여전히 제2의 튤립 버블(거품)이 될 것이란 우려가 높지만 제도권 진입을 향한 기대감에 투자 열기가 과열되는 양상이다.
가상화폐 정보업체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29일 오전 7시30분 현재(한국시간) 비트코인의 가격은 개당 1만93.40달러를 기록, 사상 처음으로 1만 달러를 돌파했다. 지난 26일 9000달러 돌파 후 단 3일 만에 1000달러가 더 올랐다.비트코인은 최근 두 달간 맹렬히 상승했다. 올해 초 1000달러 초반에서 2000달러에 이르기까지 약 5개월이 걸렸지만 5000달러에서 1만달러선 돌파까지는 두 달이 채 걸리지 않았다.
비트코인이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것이란 기대감이 투자심리에 불을 지폈다.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가상화폐 제도권 편입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美·日, 비트코인 제도권 편입 가시화세계 최대 파생상품 거래소인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는 지난 10월 비트코인 선물 거래를 연내 개시하겠다고 밝혔다. 금, 원유와 같은 투자상품으로 비트코인의 가치를 인정한 것이다.
일본도 가상화폐를 기업의 자산으로 인정하기 위한 제도 마련에 착수했다. 일본회계기준위원회(ASBJ)는 지난 22일 위원회를 열고 이르면 내년부터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을 기업회계원칙에 반영하기로 했다. 가상화폐를 보유자산으로 계상한 뒤 시가에 따른 가격 변동을 평가손익에 반영하는 것이 골자다.
이는 일본 최대 가전제품 매장인 빅카메라, 저가항공사 피치항공 등 일본 업체 1만여곳이 비트코인 결제시스템을 도입하면서 가상화폐가 제도권으로 편입되고 있는 데 따른 조치다. 일본의 주요 신문들은 이 같은 결정이 가상화폐 시장에 대규모 기업 자금과 기관투자금이 유입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전문가들도 비트코인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온다면 지금보다 투자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열매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비트코인 선물거래의 탄생은 비트코인이 비로소 제도권 금융시장에 진입한다는 의미에서 기념비적 이벤트가 될 것"이라며 "상장지수펀드(ETF)와 파생상품 등 비트코인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 거래가 시작된다면 기관투자가들의 자금이 가상화폐 시장으로 유입될 것이다"고 판단했다.비트코인이 내년 말에는 4만달러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마이클 노보그라츠 전 포트리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최근 미국 CNBC와 인터뷰에서 "공급 부족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내년 말 4만달러까지 치솟을 것"이라며 "또 다른 가상화폐 이더리움은 내년 말 500달러를 찍거나 근접해 현재보다 3배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제2의 튤립 버블 우려…"비트코인, 투기에 불과"
장밋빛 전망과 달리 가상화폐 신드롬이 제2의 튤립 버블에 그칠 것이란 우려도 만만치 않다.
비트코인은 전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급등세 덕에 튤립 버블과 비교된다. 튤립 버블이란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발생한 튤립 과열투기현상을 일컫는다. 당시 희귀 품종이던 튤립을 두고 투기 수요가 폭증하면서 튤립 가격이 뿌리당 1억원을 호가하는 일이 벌어졌다. 오를 데로 오른 가격에 투기 수요가 급감했고, 튤립을 재산적 가치로 인정할 수 없다는 법원 판결이 이어지면서 가격 거품이 순식간에 꺼졌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비트코인이 실제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이용되지 않고 전적으로 투기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투자자를 현혹하려는 계획도 확산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한국은 일본, 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비트코인 거래량이 많지만 이렇다 할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이 없어 투기 세력이 몰리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가상화폐 정보사이트 코인힐스에 따르면 전 세계 비트코인 시장에서 원화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10.40%다. 일본 엔화는 59.29%, 미국 달러화는 21.18%다.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에는 시세 조작과 투기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다. 이러한 탓에 자금 세탁을 위한 용도로 중국 자본이 쉽게 드나들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중국은 가상화폐 유통·거래를 모두 제한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가상화폐를 금융상품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전날 국무회의에서 "비트코인이 1100만원을 넘어서면서 가상화폐가 투기화되고 있다"며 "이대로 놔두면 심각한 왜곡현상이나 병리현상이 벌어질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며 관계부처에 적극 대응을 주문했다.김열매 연구원은 "올해 들어 가파르게 급등한 비트코인의 적정가격이 얼마일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며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들어오는 참여자가 늘어날수록, 그 안에서 생산되고 교환될 수 있는 유형·무형의 가치가 증가할수록 적정가격은 높아질 수 있다"고 짚었다. 이어 "정부의 규제나 기술적 문제로 인해 비트코인 생태계의 가치가 하락한다면 현재의 가격은 거품일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가상화폐 정보업체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29일 오전 7시30분 현재(한국시간) 비트코인의 가격은 개당 1만93.40달러를 기록, 사상 처음으로 1만 달러를 돌파했다. 지난 26일 9000달러 돌파 후 단 3일 만에 1000달러가 더 올랐다.비트코인은 최근 두 달간 맹렬히 상승했다. 올해 초 1000달러 초반에서 2000달러에 이르기까지 약 5개월이 걸렸지만 5000달러에서 1만달러선 돌파까지는 두 달이 채 걸리지 않았다.
비트코인이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것이란 기대감이 투자심리에 불을 지폈다.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가상화폐 제도권 편입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美·日, 비트코인 제도권 편입 가시화세계 최대 파생상품 거래소인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는 지난 10월 비트코인 선물 거래를 연내 개시하겠다고 밝혔다. 금, 원유와 같은 투자상품으로 비트코인의 가치를 인정한 것이다.
일본도 가상화폐를 기업의 자산으로 인정하기 위한 제도 마련에 착수했다. 일본회계기준위원회(ASBJ)는 지난 22일 위원회를 열고 이르면 내년부터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을 기업회계원칙에 반영하기로 했다. 가상화폐를 보유자산으로 계상한 뒤 시가에 따른 가격 변동을 평가손익에 반영하는 것이 골자다.
이는 일본 최대 가전제품 매장인 빅카메라, 저가항공사 피치항공 등 일본 업체 1만여곳이 비트코인 결제시스템을 도입하면서 가상화폐가 제도권으로 편입되고 있는 데 따른 조치다. 일본의 주요 신문들은 이 같은 결정이 가상화폐 시장에 대규모 기업 자금과 기관투자금이 유입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전문가들도 비트코인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온다면 지금보다 투자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열매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비트코인 선물거래의 탄생은 비트코인이 비로소 제도권 금융시장에 진입한다는 의미에서 기념비적 이벤트가 될 것"이라며 "상장지수펀드(ETF)와 파생상품 등 비트코인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 거래가 시작된다면 기관투자가들의 자금이 가상화폐 시장으로 유입될 것이다"고 판단했다.비트코인이 내년 말에는 4만달러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마이클 노보그라츠 전 포트리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최근 미국 CNBC와 인터뷰에서 "공급 부족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내년 말 4만달러까지 치솟을 것"이라며 "또 다른 가상화폐 이더리움은 내년 말 500달러를 찍거나 근접해 현재보다 3배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제2의 튤립 버블 우려…"비트코인, 투기에 불과"
장밋빛 전망과 달리 가상화폐 신드롬이 제2의 튤립 버블에 그칠 것이란 우려도 만만치 않다.
비트코인은 전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급등세 덕에 튤립 버블과 비교된다. 튤립 버블이란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발생한 튤립 과열투기현상을 일컫는다. 당시 희귀 품종이던 튤립을 두고 투기 수요가 폭증하면서 튤립 가격이 뿌리당 1억원을 호가하는 일이 벌어졌다. 오를 데로 오른 가격에 투기 수요가 급감했고, 튤립을 재산적 가치로 인정할 수 없다는 법원 판결이 이어지면서 가격 거품이 순식간에 꺼졌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비트코인이 실제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이용되지 않고 전적으로 투기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투자자를 현혹하려는 계획도 확산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한국은 일본, 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비트코인 거래량이 많지만 이렇다 할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이 없어 투기 세력이 몰리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가상화폐 정보사이트 코인힐스에 따르면 전 세계 비트코인 시장에서 원화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10.40%다. 일본 엔화는 59.29%, 미국 달러화는 21.18%다.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에는 시세 조작과 투기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다. 이러한 탓에 자금 세탁을 위한 용도로 중국 자본이 쉽게 드나들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중국은 가상화폐 유통·거래를 모두 제한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가상화폐를 금융상품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전날 국무회의에서 "비트코인이 1100만원을 넘어서면서 가상화폐가 투기화되고 있다"며 "이대로 놔두면 심각한 왜곡현상이나 병리현상이 벌어질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며 관계부처에 적극 대응을 주문했다.김열매 연구원은 "올해 들어 가파르게 급등한 비트코인의 적정가격이 얼마일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며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들어오는 참여자가 늘어날수록, 그 안에서 생산되고 교환될 수 있는 유형·무형의 가치가 증가할수록 적정가격은 높아질 수 있다"고 짚었다. 이어 "정부의 규제나 기술적 문제로 인해 비트코인 생태계의 가치가 하락한다면 현재의 가격은 거품일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