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 상업지역 확대… '동남권 마이스벨트'에 세텍 포함

2030 서울시 생활권계획 통과

5개 권역 116개 생활권으로 나눠
강남·북 균형성장 이끌기로
서울시의 동(洞) 단위 개발전략을 담은 도시계획체계 ‘2030 생활권 계획’이 확정됐다. 상대적으로 낙후됐던 비강남 지역의 업무·상업기능을 강화해 강남·북의 균형성장을 이끄는 기준이 될 전망이다.
7일 서울시에 따르면 전날 열린 도시계획위원회에서 ‘2030 서울시 생활권계획’이 통과됐다. 생활권계획은 서울시 도시계획 원칙을 담은 ‘2030 서울플랜’의 하위계획으로, 서울을 도심·동북·서북·서남·동남권 5개 권역으로 나눠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계획을 담고 있다. 이를 다시 116개 지역 생활권으로 나눠 동 단위 지역까지 미래상과 발전 방향을 세밀하게 짰다.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의 자족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상업지역을 확대하는 방안도 나왔다.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에 53개 지구중심을 더했다. 지구중심은 각 생활권에서 상권과 일자리 중심지 역할을 한다. 서울시는 전역에 상업지역 192만㎡를 확대 지정하고 상업지역비주거 의무 비율을 30%에서 20%로 완화하는 방안도 담았다.

이번에 통과된 생활권 계획은 지난 5월 발표한 초안을 주민 의견 수렴과 정책협의를 거쳐 일부 수정한 것이다. 당초 동남권을 마이스(MICE: 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회)산업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삼성역과 잠실운동장 일대를 연결했던 ‘마이스벨트’는 대치동 무역전시장(SETEC)까지 범위를 확장했다. 서울시 초안에서는 주거지역인 대치동에 자리잡고 있다는 이유로 SETEC이 포함되지 못했다.

관련부서 협의 과정에서 마이스산업 개발 담당부서인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와 강남구청이 SETEC을 마이스벨트에 넣어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SETEC을 마이스 시설로 개발하겠다는 서울시의 강력한 의지표현”이라고 설명했다. 생활권계획은 내년 2월 최종 확정 고시될 예정이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