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곽 그려진 임금체계… 정규직 전환 가속도 붙나
입력
수정
지면A4
공공기관 직무·임금체계 개편직무급을 기반으로 한 정부의 임금체계 표준모델이 윤곽을 드러내면서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도 속도를 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대다수 공공기관이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비정규직들의 임금체계를 정하지 못해 전환 자체를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목표 대비 33%에 불과하지만 전환 미루던 공공기관 나설 듯
10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정규직 전환을 확정한 공공부문 비정규직은 지난 8일 기준 2만3600여 명이다. 고용부가 연내 정규직 전환을 예상한 7만4000명의 32.9%에 불과하다.고용부 관계자는 “아직 기대에 못 미치는 규모이긴 하지만 지난주 5000명이 추가로 전환 확정되는 등 시간이 지날수록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며 “특히 임금체계가 정해지면 전환 과정을 미루고 있던 기관들이 차례로 전환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총 3단계로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추진 중이다. 1단계 대상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산하 공공기관 등 835곳이다. 중앙행정기관은 기간제 전환심의기구가 95.7% 구성됐고 공공기관은 91.1%, 지방공기업은 95.1%가 꾸려졌다. 하지만 심의기구만 정해졌을 뿐 대다수 기관이 임금체계 부재, 노사 간 갈등 등으로 정규직 전환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 한 지자체 인사담당자는 “가장 큰 걸림돌이 호봉제에서 비롯한 예산 문제”라며 “정부가 새 임금체계를 제시해야 예산이 어느 정도 소요될지 가늠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임금체계는 청소업무, 사무보조, 설비업무, 경비업무, 조리 등 다섯 개 분야 정규직 전환 대상자 14만 명에 해당하는 것인 만큼 추가적인 직무급 설계가 과제로 남았다. 직무급 체계 설계에 참여한 한 전문가는 “향후 2, 3단계 정규직 전환 로드맵에 적용하기 위해선 더 많은 직종을 위한 직무급 체계가 필요하다”며 “미국은 1970년대 직무급을 도입할 때 7년의 세월이 걸린 만큼 국내에서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