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에 강한 신문 한경 JOB] 국가직 지역인재 합격자들이 말하는'공부팁'
입력
수정
지면A31
지역인재 7급 합격자 고예지 씨
학점관리 가장 신경 써
PSAT '신속·정확' 중요
지역인재 9급 합격자 남윤아 씨
방학 땐 10시간씩 공부
오답노트 꼭 만드세요
지난 6일 공직박람회에서 만난 지역인재 9급 합격자 남윤아 씨(20)와 지역인재 7급 합격자 고예지 씨(24)는 국가직 지역인재 합격 비결을 이렇게 말했다. 남씨는 2016년 지역인재 9급에 합격해 6개월의 수습을 거친 뒤 이달 5일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교육지원과로 발령받았다. 고씨는 2015년 합격 후 1년간의 수습을 마치고 올해 5월부터 KTV국민방송에서 행정직으로 근무 중이다. 인사혁신처 관계자는 “올해 지역인재 7급은 120명 모집에 608명이 지원해 평균 5.1 대 1의 경쟁률을 보였고, 지역인재 9급은 170명 선발에 1065명이 지원해 평균 6.26 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고씨는 “지역인재 채용은 일반 국가직 공무원 시험보다 경쟁이 덜해 도전하게 됐다”고 지원 계기를 설명했다. 한국교원대 지리교육과를 나온 고씨는 2015년 지원 당시 교원대에선 유일한 지역인재 신청자였다. 지역인재 7급 합격 선배의 조언을 바탕으로 그가 가장 신경 쓴 것은 학점관리였다. 고씨는 “학과 정원이 10명 안팎이어서 지원 기준인 학과 성적 10% 이내에 들기 위한 학점관리가 제일 힘들었다”며 “오히려 공직적격성검사(PSAT) 공부는 쉬운 편이었다”고 했다. 본격적인 준비는 대학 1학년 겨울방학 때부터 했다.
고씨는 “PSAT는 정확성과 속도가 중요하다”고 나름의 공부법을 소개했다. 그는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많이 틀리는 유형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풀었다”며 “주어진 시간 내에 정확히 푸는 연습을 했다”고 설명했다. 지역인재 7급은 매년 2월 말~3월 초에 필기시험이 있다.지역인재 7급 선발인원 증가에 따라 내년부터는 학교별 추천인원이 올해(4~8명)보다 많은 6~10명으로 늘어난다. 7급 필기시험에는 헌법 과목이 추가된다. 헌법 과목은 60점 이상이면 합격으로 인정된다. 동일인 재추천은 금지된다.
공태윤 기자 true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