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과학기술·ICT 일자리 2022년까지 26만개 창출"
입력
수정
과기정통부, 제4차 일자리위원회에 보고
2020년까지 고급인재 20만명 부족…"분야별 양성에 총력"
정부가 향후 5년간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일자리를 26만개 만든다는 목표를 세웠다.이를 위해 핵심인재 양성,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사업화 지원과 제도개선 등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12일 열린 제4차 일자리위원회 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과학기술·ICT기반 일자리 창출방안'을 보고했다.
과기정통부는 2022년까지 연구산업 1만2천개, 실험실 일자리 1만개, 무인이동체 2만7천900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또 2020년까지 과학기술·ICT 분야에서 20만명 이상의 고급인재가 부족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상반기에 미래직업예측 모델을 개발키로 했다.과기정통부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개방형 플랫폼 확산 등으로 타 분야에 비해 과학기술·ICT분야의 일자리 창출여력이 높다고 판단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R&D)투자, 인적자원, 튼튼한 제조업 기반 등 혁신성장 잠재력을 국내 일자리 창출의 원동력으로 활용하겠다고 설명했다.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등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선 지능정보특성화 대학원을 신설하고 SW중심대학을 현행 20곳에서 2019년 30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이를 통해 2022년까지 지능정보분야에서 최고급 전문인력 6천명을, 핵심 SW 전문·융합인재 2만명을 각각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산학협력 과정 개발 등을 통해 사이버보안 전문인력 1만명을 육성한다, 나노기술 고급인력도 매년 800명 양성키로 했다.
[표] 주요 신산업분야 인재양성 계획 (과기정통부)
┌─────┬───────────────────────────────┐
│ 분야 │ 주요내용 │
├─────┼───────────────────────────────┤
│ 지능정보 │대학 ICT 연구센터(ITRC) 개편?확대 및 지능정보특성화 대학원 신 │
│ │설 등 지능정보분야 최고급 전문인력 6천명 양성(∼2022년) │
├─────┼───────────────────────────────┤
│ SW │SW중심대학(2017년 20개→2019년 30개)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일 │
│ │자리를 만드는 핵심 SW전문?융합인재 2만명 양성(∼2022년) │
├─────┼───────────────────────────────┤
│ 정보보호 │산학협력 교육과정 개발, 산학협력 정보보호 대학원 과정 신설 등 │
│ │을 통해 사이버보안 전문인력 1만명 육성(∼2022년) │
├─────┼───────────────────────────────┤
│ 나노 │나노분야 공통기반 이론 교육, 6개 나노팹*을 활용한 실습교육 등 │
│ │ 나노기술 고급인력 매년 800명 양성 │
│ │* 나노 분야 R&D 시설?장비 공동활용, 전문인력 양성 등을 목적으 │
│ │로 설립 (6개 운영 중) │
├─────┼───────────────────────────────┤
│ 바이오 │바이오R&D 인력 대상 기술사업화, 금융, 경영 관련 교육프로그램 │
│ │운영 등 바이오기술·투자 전문가 양성(2018년∼2022년) │
└─────┴───────────────────────────────┘과기정통부는 AI 제품·서비스 개발에 공통적으로 활용되는 핵심요소기술(언어지능·시각지능 등)과 원천기술(차세대학습·추론 등) 개발에 올해부터 2023년까지 1천278억원을 투입하는 등 적극 지원키로 했다.
또 내년에는 빅데이터 전문센터 3곳을 육성해 데이터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고 클라우드 시범지구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런 신산업 지원을 통해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고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연구개발 정책도 현장에서 일자리 창출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바뀐다.
정부는 ICT 연구개발사업이 현장 고용창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성공한 R&D의 사업화 단계에서 납부해야 하는 기술료를 우수 연구인력의 추가채용과 연계하여 감면하는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또 국가R&D사업 중 일자리 관련 사업에 대해 일자리 지표 설정을 확대하고, 유료방송 인·허가시에도 일자리 요소를 반영키로 했다.
학생연구원과 박사후연구원의 처우 개선 및 신분 보장 강화, 경력단절 여성과학기술인에 대한 지원 확대도 대책에 포함됐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국가사회 혁신을 선도하는 부처로서 혁신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견인해 국민 모두가 성장의 과실을 두루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황판식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과장은 "4차산업혁명으로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는 걱정도 많지만 우리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를 것"이라며 "단순직 일자리는 줄어들 수 있지만 과학기술과 ICT분야는 고급 일자리가 많이 생길 여력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표] 과학기술·ICT기반 일자리 창출방안 비전 체계 (과기정통부)
┌──────┬───────────────────────────┐
│ 비전 │혁신성장을 선도하는 과학기술·ICT기반 일자리 │
├──────┼───────────────────────────┤
│ 목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일자리 인프라 조성 및 │
│ │과학기술·ICT 일자리 26만개 창출 │
├──────┼───────────────────────────┤
│ 기본방향 │① 미래직업 예측, 핵심인재 양성 등 미래 일자리 변화 대│
│ │비 │
│ │② 연구개발 성과 사업화와 서비스산업 육성으로 일자리 │
│ │창출 │
│ │③ ICT 新산업 육성, 융합 확산, 인프라 조기구축으로 고 │
│ │용 확대 │
│ │④ 근로여건 개선 및 잠재인력 활용 확대 │
└──────┴───────────────────────────┘┌──────┬───────────────────────────┐
│ 추진과제 │ 세부과제 │
├──────┼───────────────────────────┤
│일자리 창출 │① 미래 일자리 변화 대비 체계적 예측·준비 │
│인프라 조성 │② 4차 산업혁명 유망인재 양성 │
│ │③ 新산업·서비스를 촉진하는 규제 개선 │
│ │④ 일자리 창출을 유인하는 제도 개선 │
├───┬──┼───────────────────────────┤
│일자리│과학│① 연구성과 사업화·창업을 통한 실험실 일자리 창출 │
│ 창출 │기술│② 연구산업·과학문화산업 육성을 통한 서비스 일자리 창│
│ │기반│출 │
│ │ │③ 지방과학기술 진흥을 통한 지역 일자리 창출 │
│ │ │④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통한 글로벌 일자리 창출 │
│ ├──┼───────────────────────────┤
│ │ICT │① 인공지능 등 ICT 융합 新산업 육성 │
│ │기반│② 5G 이동통신 등 ICT 핵심인프라 구축 │
│ │ │③ 공공 SW시장 혁신 및 SW 新시장 창출 │
├───┴──┼───────────────────────────┤
│일자리 질과 │① 출연연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
│ 기회 제고 │② 학생연구원·청년과학기술인 안전망 강화 │
│ │③ 잠재인력 지원과 사회적 기여 확대 │
└──────┴───────────────────────────┘
/연합뉴스
2020년까지 고급인재 20만명 부족…"분야별 양성에 총력"
정부가 향후 5년간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일자리를 26만개 만든다는 목표를 세웠다.이를 위해 핵심인재 양성,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사업화 지원과 제도개선 등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12일 열린 제4차 일자리위원회 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과학기술·ICT기반 일자리 창출방안'을 보고했다.
과기정통부는 2022년까지 연구산업 1만2천개, 실험실 일자리 1만개, 무인이동체 2만7천900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또 2020년까지 과학기술·ICT 분야에서 20만명 이상의 고급인재가 부족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상반기에 미래직업예측 모델을 개발키로 했다.과기정통부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개방형 플랫폼 확산 등으로 타 분야에 비해 과학기술·ICT분야의 일자리 창출여력이 높다고 판단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R&D)투자, 인적자원, 튼튼한 제조업 기반 등 혁신성장 잠재력을 국내 일자리 창출의 원동력으로 활용하겠다고 설명했다.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등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선 지능정보특성화 대학원을 신설하고 SW중심대학을 현행 20곳에서 2019년 30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이를 통해 2022년까지 지능정보분야에서 최고급 전문인력 6천명을, 핵심 SW 전문·융합인재 2만명을 각각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산학협력 과정 개발 등을 통해 사이버보안 전문인력 1만명을 육성한다, 나노기술 고급인력도 매년 800명 양성키로 했다.
[표] 주요 신산업분야 인재양성 계획 (과기정통부)
┌─────┬───────────────────────────────┐
│ 분야 │ 주요내용 │
├─────┼───────────────────────────────┤
│ 지능정보 │대학 ICT 연구센터(ITRC) 개편?확대 및 지능정보특성화 대학원 신 │
│ │설 등 지능정보분야 최고급 전문인력 6천명 양성(∼2022년) │
├─────┼───────────────────────────────┤
│ SW │SW중심대학(2017년 20개→2019년 30개)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일 │
│ │자리를 만드는 핵심 SW전문?융합인재 2만명 양성(∼2022년) │
├─────┼───────────────────────────────┤
│ 정보보호 │산학협력 교육과정 개발, 산학협력 정보보호 대학원 과정 신설 등 │
│ │을 통해 사이버보안 전문인력 1만명 육성(∼2022년) │
├─────┼───────────────────────────────┤
│ 나노 │나노분야 공통기반 이론 교육, 6개 나노팹*을 활용한 실습교육 등 │
│ │ 나노기술 고급인력 매년 800명 양성 │
│ │* 나노 분야 R&D 시설?장비 공동활용, 전문인력 양성 등을 목적으 │
│ │로 설립 (6개 운영 중) │
├─────┼───────────────────────────────┤
│ 바이오 │바이오R&D 인력 대상 기술사업화, 금융, 경영 관련 교육프로그램 │
│ │운영 등 바이오기술·투자 전문가 양성(2018년∼2022년) │
└─────┴───────────────────────────────┘과기정통부는 AI 제품·서비스 개발에 공통적으로 활용되는 핵심요소기술(언어지능·시각지능 등)과 원천기술(차세대학습·추론 등) 개발에 올해부터 2023년까지 1천278억원을 투입하는 등 적극 지원키로 했다.
또 내년에는 빅데이터 전문센터 3곳을 육성해 데이터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고 클라우드 시범지구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런 신산업 지원을 통해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고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연구개발 정책도 현장에서 일자리 창출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바뀐다.
정부는 ICT 연구개발사업이 현장 고용창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성공한 R&D의 사업화 단계에서 납부해야 하는 기술료를 우수 연구인력의 추가채용과 연계하여 감면하는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또 국가R&D사업 중 일자리 관련 사업에 대해 일자리 지표 설정을 확대하고, 유료방송 인·허가시에도 일자리 요소를 반영키로 했다.
학생연구원과 박사후연구원의 처우 개선 및 신분 보장 강화, 경력단절 여성과학기술인에 대한 지원 확대도 대책에 포함됐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국가사회 혁신을 선도하는 부처로서 혁신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견인해 국민 모두가 성장의 과실을 두루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황판식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과장은 "4차산업혁명으로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는 걱정도 많지만 우리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를 것"이라며 "단순직 일자리는 줄어들 수 있지만 과학기술과 ICT분야는 고급 일자리가 많이 생길 여력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표] 과학기술·ICT기반 일자리 창출방안 비전 체계 (과기정통부)
┌──────┬───────────────────────────┐
│ 비전 │혁신성장을 선도하는 과학기술·ICT기반 일자리 │
├──────┼───────────────────────────┤
│ 목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일자리 인프라 조성 및 │
│ │과학기술·ICT 일자리 26만개 창출 │
├──────┼───────────────────────────┤
│ 기본방향 │① 미래직업 예측, 핵심인재 양성 등 미래 일자리 변화 대│
│ │비 │
│ │② 연구개발 성과 사업화와 서비스산업 육성으로 일자리 │
│ │창출 │
│ │③ ICT 新산업 육성, 융합 확산, 인프라 조기구축으로 고 │
│ │용 확대 │
│ │④ 근로여건 개선 및 잠재인력 활용 확대 │
└──────┴───────────────────────────┘┌──────┬───────────────────────────┐
│ 추진과제 │ 세부과제 │
├──────┼───────────────────────────┤
│일자리 창출 │① 미래 일자리 변화 대비 체계적 예측·준비 │
│인프라 조성 │② 4차 산업혁명 유망인재 양성 │
│ │③ 新산업·서비스를 촉진하는 규제 개선 │
│ │④ 일자리 창출을 유인하는 제도 개선 │
├───┬──┼───────────────────────────┤
│일자리│과학│① 연구성과 사업화·창업을 통한 실험실 일자리 창출 │
│ 창출 │기술│② 연구산업·과학문화산업 육성을 통한 서비스 일자리 창│
│ │기반│출 │
│ │ │③ 지방과학기술 진흥을 통한 지역 일자리 창출 │
│ │ │④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통한 글로벌 일자리 창출 │
│ ├──┼───────────────────────────┤
│ │ICT │① 인공지능 등 ICT 융합 新산업 육성 │
│ │기반│② 5G 이동통신 등 ICT 핵심인프라 구축 │
│ │ │③ 공공 SW시장 혁신 및 SW 新시장 창출 │
├───┴──┼───────────────────────────┤
│일자리 질과 │① 출연연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
│ 기회 제고 │② 학생연구원·청년과학기술인 안전망 강화 │
│ │③ 잠재인력 지원과 사회적 기여 확대 │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