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숨 돌린 한국은행… 금리인상 속도 조절
입력
수정
지면A10
미국 기준금리 인상미국 중앙은행(Fed)이 14일 예상보다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속도도 느려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시장에서는 한은의 내년 금리 인상 횟수가 1~2회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선 "내년 1~2차례 그칠 것" 전망
내년 한·미 금리역전 땐 자금유출 가능성 배제 못해
이주열 한은 총재(사진)는 이날 Fed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직후 기자들과 만나 “(Fed가) 생각보다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국이 이번에 금리를 올리는 건 예상했던 것”이라며 “내년 정상화 속도가 관심이었는데 (내년 인상 횟수를 가늠할 수 있는) 점도표에 변화가 없었다”고 했다.Fed는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1.00~1.25%에서 연 1.25~1.50%로 올렸다. 그러면서 내년에는 ‘3회 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기존 전망치와 같다. 하지만 물가가 안정돼 있다고 밝힌 데다 두 명의 FOMC 위원이 회의에서 ‘동결’을 주장해 과거보다 ‘비둘기파적’이라는 게 시장의 평가다. 한은의 내년 금리 인상 속도가 빠르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은 시간문제라는 점이 변수다. 현재 한은의 기준금리는 연 1.5%다. 내년에 미국이 기준금리를 3회 올리면 한·미 간 기준금리가 역전된다.
전문가들은 한·미 간 금리가 역전돼도 국내 금융시장에서 단기간에 자금 유출이 일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상수지 흑자 행진으로 원화 강세가 이어진다면 국내 금융시장을 이탈할 유인이 적다는 이유에서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위원은 “0.50%포인트 정도의 금리 역전은 자금 흐름에 큰 변화를 가져오지 않을 것”이라며 “1%포인트 이상 벌어져야 자금 이탈이 우려된다”고 말했다.시장에서는 한은의 내년 첫 금리 인상 시점도 하반기가 될 것으로 보는 분위기가 많다. 부진한 내수와 고용, 반도체 편중 현상 등을 감안했을 때 아직 국내 경기 회복세가 뚜렷하다고 확신하기 어려운 데다 북핵 위험도 여전하기 때문이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이미 한은이 (지난 11월30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이후) 신중한 통화정책 결정 방침을 밝힌 데다 내년 3월 말 이 총재의 임기 만료를 고려할 때 내년 7월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