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정비 MRO' 사업자에 KAI 선정… "일자리 2만개 창출"
입력
수정
MRO 사업계획평가위 결정…"2026년부터 순이익"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정부가 지원하는 항공정비(MRO)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국토교통부는 지난 18일 민·관 전문가 14명으로 구성된 'MRO 사업계획 평가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토대로 KAI를 정부 지원 MRO 사업자로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MRO 사업은 '황금알을 낳는 사업'으로 꼽히며 한때 지방도시들이 유치 경쟁에 뛰어들며 유치전을 벌였다.
그러나 충북 청주에 사업 기반을 마련하려던 아시아나항공 경영 사정으로 이 사업에서 손을 떼면서 KAI와 경남 사천시 컨소시엄만 평가위 심사를 받았다.정부 평가위원회는 KAI가 MRO 사업을 추진할 기반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항공기 제조사로서 MRO를 위한 시설, 장비 보유,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용지 저리 임대 등 조건이 충분하고, KAI가 군용기 정비경험과 B737 항공기 개조 경험 등도 있어 민·군 항공기 정비업 경영에 필요한 역량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KAI가 MRO 사업지로 정한 경남 사천시를 두고 지리적으로 편중됐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국토부는 사천 인근에 항공우주산업단지가 있고 항공 관련 협력업체 60여 개가 입주해 있어 MRO 클러스터 형성을 위한 입지도 우수하다고 판단했다.국토부 관계자는 "독일의 루프트한자테크닉은 함부르크에, 미국 AAR은 오클라호마에, 일본 ANAM은 오키나와에 각각 둥지를 트는 등 선진국 MRO 전문기업도 지방도시에 자리를 잡은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기준 항공정비 수요는 약 1조9천억원에 달하지만, 이 가운데 48.6%(9천400억원)가 해외에 정비를 맡기고 있다.
국토부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국적 항공기 정비의 내수전환과 국내 MRO 산업 육성을 위해 3단계 추진 전략을 시행하고 있다.1단계로 MRO 자립기반 확충을 위해 법제 정비와 인프라 구축을 지원했고, 이번에 2단계로 MRO 사업자를 선정해 전략산업으로 키우기 시작한다.
3단계는 MRO 사업 육성을 토대로 해외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KAI는 내년 3월 발기인 조합 설립 후 8월에 한국공항공사, 참여업체 등과 함께 MRO 전문기업을 신설하고, 10월 사업 준비를 모두 마칠 계획이다.
내년 11월 국토부로부터 정비조직 인증을 받아 12월부터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다.
신설되는 MRO 전문기업에는 자본금 1천300여억원 포함, 앞으로 10년간 3천500억원이 투자된다.
사천을 시작으로 향후 김포, 인천, 제주 등으로도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항공기 정비시설 지원, 군수물량 민간 이전, 규제완화와 세금 감면 등 맞춤형 지원을 한다.
경남과 사천시는 사업입지 조성을 지원한다.
KAI는 사천 2사업장 등 현물과 300여억원의 현금을 출자한다.
군수 정비, 성능 개량 등을 통해 MRO 전문기업의 조기 안정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KAI가 제출한 사업계획대로 2026년이면 순이익이 날 것으로 전망했다.
또 10년간 2만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KAI 직·간접 고용인원이 5천600여명, 기계·판금·부품제조 등 관련 협력업체 고용이 1만4천여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수입 대체 1조6천800억원, 생산 유발 5조4천억원 등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됐다.
부가가치 창출은 1조4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항공기 정비의 국내 전환으로 항공업계가 절감하는 기회비용도 연간 44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KAI를 중심으로 MRO 클러스터가 조성될 경우 진주·사천 등 경남 서남부지역이 미국 오클라호마나 싱가포르 같은 MRO 산업 중심지로 성장해 국가균형발전 촉매제 역할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됐다.
경남지역에는 전국 항공업체의 63%인 62개 업체가 몰려있고, 전국 항공산업 종사자의 64%인 8천5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항공산업 전문가인 박춘배 전 인하대 총장은 "그동안 대형항공사 중심의 자가 정비체제에 머물렀던 국내 MRO 산업이 전문 MRO 기업 중심의 글로벌체제로 전환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MRO 사업은 '황금알을 낳는 사업'으로 꼽히며 한때 지방도시들이 유치 경쟁에 뛰어들며 유치전을 벌였다.
그러나 충북 청주에 사업 기반을 마련하려던 아시아나항공 경영 사정으로 이 사업에서 손을 떼면서 KAI와 경남 사천시 컨소시엄만 평가위 심사를 받았다.정부 평가위원회는 KAI가 MRO 사업을 추진할 기반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항공기 제조사로서 MRO를 위한 시설, 장비 보유,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용지 저리 임대 등 조건이 충분하고, KAI가 군용기 정비경험과 B737 항공기 개조 경험 등도 있어 민·군 항공기 정비업 경영에 필요한 역량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KAI가 MRO 사업지로 정한 경남 사천시를 두고 지리적으로 편중됐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국토부는 사천 인근에 항공우주산업단지가 있고 항공 관련 협력업체 60여 개가 입주해 있어 MRO 클러스터 형성을 위한 입지도 우수하다고 판단했다.국토부 관계자는 "독일의 루프트한자테크닉은 함부르크에, 미국 AAR은 오클라호마에, 일본 ANAM은 오키나와에 각각 둥지를 트는 등 선진국 MRO 전문기업도 지방도시에 자리를 잡은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기준 항공정비 수요는 약 1조9천억원에 달하지만, 이 가운데 48.6%(9천400억원)가 해외에 정비를 맡기고 있다.
국토부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국적 항공기 정비의 내수전환과 국내 MRO 산업 육성을 위해 3단계 추진 전략을 시행하고 있다.1단계로 MRO 자립기반 확충을 위해 법제 정비와 인프라 구축을 지원했고, 이번에 2단계로 MRO 사업자를 선정해 전략산업으로 키우기 시작한다.
3단계는 MRO 사업 육성을 토대로 해외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KAI는 내년 3월 발기인 조합 설립 후 8월에 한국공항공사, 참여업체 등과 함께 MRO 전문기업을 신설하고, 10월 사업 준비를 모두 마칠 계획이다.
내년 11월 국토부로부터 정비조직 인증을 받아 12월부터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다.
신설되는 MRO 전문기업에는 자본금 1천300여억원 포함, 앞으로 10년간 3천500억원이 투자된다.
사천을 시작으로 향후 김포, 인천, 제주 등으로도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항공기 정비시설 지원, 군수물량 민간 이전, 규제완화와 세금 감면 등 맞춤형 지원을 한다.
경남과 사천시는 사업입지 조성을 지원한다.
KAI는 사천 2사업장 등 현물과 300여억원의 현금을 출자한다.
군수 정비, 성능 개량 등을 통해 MRO 전문기업의 조기 안정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KAI가 제출한 사업계획대로 2026년이면 순이익이 날 것으로 전망했다.
또 10년간 2만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KAI 직·간접 고용인원이 5천600여명, 기계·판금·부품제조 등 관련 협력업체 고용이 1만4천여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수입 대체 1조6천800억원, 생산 유발 5조4천억원 등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됐다.
부가가치 창출은 1조4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항공기 정비의 국내 전환으로 항공업계가 절감하는 기회비용도 연간 44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KAI를 중심으로 MRO 클러스터가 조성될 경우 진주·사천 등 경남 서남부지역이 미국 오클라호마나 싱가포르 같은 MRO 산업 중심지로 성장해 국가균형발전 촉매제 역할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됐다.
경남지역에는 전국 항공업체의 63%인 62개 업체가 몰려있고, 전국 항공산업 종사자의 64%인 8천5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항공산업 전문가인 박춘배 전 인하대 총장은 "그동안 대형항공사 중심의 자가 정비체제에 머물렀던 국내 MRO 산업이 전문 MRO 기업 중심의 글로벌체제로 전환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