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집들이' 1991년 이후 최대… '소화 불량' 가능성
입력
수정
지면A4
2018 재테크 - 부동산시장
44만가구 입주 예정
수도권 남부지역 등
역전세난·해약 사태 우려

19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내년 전국에서 44만999가구가 집들이를 한다. 주택시장이 호황을 맞았던 2015년 전후 분양된 아파트가 본격 입주시기를 맞으면서 입주량이 올해(38만572가구)보다 약 15.8% 늘어난다. 당장 내년 1월 입주가 예정된 아파트만 총 4만3066가구다. 역대 최대인 올해 1월 입주물량(2만3625가구)보다 82% 많다.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는 21만9544가구가 내년 입주를 앞두고 있다. 이 중 약 74%인 16만2673가구가 경기 지역에 몰렸다. 2015년 택지지구와 신도시 곳곳에서 분양이 이뤄진 영향이다. 서울에선 올해 입주물량(2만7380가구)보다 27% 증가한 3만4925가구가 주인을 맞는다. 인천에선 2만1946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지방에서도 입주물량이 특정 지역에 몰려 있다. 지방 5대 광역시에선 모두 5만6521가구가 입주한다. 부산(2만2902가구)과 대구(1만2710가구) 입주물량이 전체의 63% 수준이다. 광주 입주물량은 5961가구에 그칠 전망이다. 기타 지방에선 경남(4만875가구)과 경북(2만5267가구)의 입주물량이 많다. 세종시에선 1만4002가구가 주인을 맞는다.
특정 지역 위주로 확 늘어난 입주물량이 ‘소화 불량’ 사태를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신규 주택 공급이 단기간에 증가하면서 주변 집값과 전셋값이 출렁일 수 있다는 얘기다.2008년 서울 송파구 잠실 일대에선 1만5000여 가구가 한꺼번에 입주하면서 1년간 전셋값이 18.3% 급락하는 등 ‘역전세난’이 일어났다. 전세가가 떨어지고 세입자를 구하기 어려워지면 보증금 상환 부담으로 인한 급매물이 대거 나오기도 한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