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 무분별 '몸집 불리기' 시동 걸리나
입력
수정
지면A10
내년부터 모든 지자체 인력 충원·조직 운영 자율로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 정원을 규제해온 ‘기준 인건비’ 제도가 내년부터 사실상 폐지된다. 과(課) 단위 이하 기구 설치가 자유로워지는 등 지자체의 인력·조직 운용 권한이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지방분권 강화라는 환영의 목소리와 함께 지방정부 비대화로 ‘손톱 밑 가시’로 불리는 규제가 많아지고 행정 서비스 질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행정안전부, 입법예고
기준 인건비 넘어가도 교부세 감액 안 하기로
인구 10만 미만 시·군, 과 설치 상한기준 없애
행정안전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개정령안을 입법예고한다고 발표했다. 이 개정령안은 내년 1월8일까지 입법예고한 뒤 국무회의를 거쳐 곧바로 시행될 예정이다.개정령안은 지자체가 인건비성 경비 총액(기준 인건비)을 초과해 인건비를 쓰는 경우에도 별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겠다는 게 주 내용이다. 지자체별로 자율적으로 정원과 조직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는 얘기다. 지금까지는 행안부가 지자체별로 기준 인건비를 정해놓고 이를 초과하면 보통교부세를 깎는 불이익을 줬다. 이전에는 더 엄격했다. 정부 수립 이후 1980년대까지는 지자체가 정원을 늘리려면 정부의 승인(개별승인제)을 받았고, 1989년에는 표준 정원제(한도 설정), 2007년부터는 인건비와 인력 한도를 설정한 총액인건비제가 적용됐다. 현행 기준 인건비제는 2014년 도입됐다.
개정령안에 따르면 인구 10만 명 미만 시·군(78개)에 대한 과(課) 설치 상한 기준이 사라진다. 국(2개 한도 내·4급) 설치도 허용된다. 그동안 인구 10만 명 미만 시·군은 국을 설치할 수 없어 부단체장(4급)이 9~18개의 과를 직접 관할해야 해 통솔 범위가 지나치게 넓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수원·고양·용인·창원)는 인구 규모가 비슷한 광역시의 직급체계 등을 감안해 3급 또는 4급 직위를 1명 늘릴 수 있도록 했다.하지만 지방정부의 자율성 확대가 지자체의 무분별한 ‘몸집 불리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불필요한 과 단위 조직이 늘어나거나 지자체장이 선거를 앞두고 취업 준비생 같은 젊은 유권자를 의식해 정원을 늘릴 수도 있다는 얘기다.
행안부에 따르면 전국 지방공무원은 지난해 말 기준 30만3401명으로 전년(29만9273명)보다 4128명 늘었다. 11년 전인 2005년(26만6176명)보다는 13.9%가량(3만7225명) 증가했다. 복지와 일자리 등 행정 수요가 늘면서 공무원이 더 필요하다는 설명이지만 내년부터 인력 관리가 자율화되면 공무원 증가 속도는 더 빨라질 가능성이 높다.
각종 인허가권을 쥔 지방 정부가 커지면 규제 심화와 함께 정작 행정 실무인력은 줄어 행정 서비스 질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과장 자리가 늘어나면 조직이 많아지면서 기존 실무인력을 분산 배치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행안부는 지자체의 방만한 인력 운용을 막기 위해 보통교부세를 기준인건비 범위 내 인건비 집행분을 기준으로 산정하기로 했다. 또 지자체가 인력 운용 결과를 지방의회에 제출하도록 하고 주민공개도 확대하기로 했다.
백승현/박상용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