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사랑' 독일, 가상화폐 중심지로 부상

개발허브로 각광…도이체방크도 블록체인에 주목

독일이 가상화폐 분야에서 무시할 수 없는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고 월 스트리트 저널이 7일 보도했다.컨설팅 업체인 딜로이트의 분석에 따르면 독일에서는 2008년부터 블록체인과 관련해 모두 1천307건의 컴퓨터 코딩 프로젝트가 진행돼 왔다.

이는 중국과 미국, 영국에 이어 4번째이며 일본을 앞서는 규모다.

특히 수도 베를린은 수년 전부터 세계적인 수준의 블록체인 코딩 전문가들의 커뮤니티가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해외 기업을 위해 일하는 코딩 전문가들을 포함하면 베를린이 이 분야에서 차지하는 실제 비중은 더 커질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주요 도시인 뮌헨과 본에서는 핀테크 스타트업과 벤처 캐피털리스트들이 가상화폐 관련 사업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신기술에 대한 독일의 신중함을 한탄해왔던 벤처 캐피털리스트들에게는 모처럼 맞는 반가운 변화다.그 열기는 금융 중심지인 프랑크푸르트로도 옮겨가고 있다.

독일 최대 은행인 도이체방크가 블록체인을 사업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 단적인 실례다.

도이체방크의 토마스 닐젠 금융거래 부문 최고디지털 책임자는 블록체인이야말로 "기존 업무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매출 흐름을 열어줄 멋진 기술"이라고 논평했다.현금을 선호하고 복잡한 금융기법에 회의적이며 IT 트렌드 수용에 굼뜬 독일에서 이처럼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는 것은 놀라운 현상이다.
2016년 국제중앙은행저널에 발표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인들은 전체 거래의 82%, 결제총액의 53%를 현금으로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나 영국, 프랑스 소비자들과 비교하면 현금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셈이다.

"현금만이 진짜"라는 독일의 유명한 격언이 이들의 각별한 현금 사랑을 대변해준다.

유럽중앙은행(ECB)이 취한 양적완화 정책에 대해 독일이 유독 회의적이었던 것도 이런 연유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현금 선호가 오히려 채굴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통량에도 상한선을 두고 있는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켰을지 모른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다시 말하면 가상화폐가 인플레 대비 수단으로서 주목받고 있다는 얘기다.

가상화폐는 은행들이 아니라, 규칙의 지배를 받는 시스템이다.

독일에서 주류를 이루는 정통자유주의 경제학파의 입장에도 부합할 수 있는 부분이다.

독일 출신의 위르겐 슈타르크 전 ECB 집행이사는 초저금리, 혹은 마이너스 금리의 상황에서도 리스크를 감수할 용의가 있다는 시장 참가자들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베를린의 크로이트베르크 지구에서 비트코인 기반의 스타트업 비트발라를 창업한 외르그 폰 민크비츠는 비트코인이 중앙의 통제를 받지 않는다는 점을 매력으로 꼽았다.

베를린에 형성된 가상화폐 커뮤니티는 외국인들은 물론 독일에서 1세기 전부터 생겨난 무정부주의자와 프라이버시 행동가 등 사회 비주류 그룹에서 인력을 충원하고 있다.

캐나다 출신으로 이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빅체인DB의 창업자 트렌트 맥커너히는 베를린의 개방성은 바이마르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냉전 시대에는 서독의 병역기피자들에게서도 탄력을 얻었다고 주장했다.

베를린의 커뮤니티는 가상화폐 분야에서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베를린의 프로그래머인 안드레아스 실드바흐는 모바일 비트코인 지갑의 초기 개발자였다.

이더리움의 공동 창업자인 개빈 우드는 이 가상화폐의 개발 프로젝트는 대부분 베를린팀에 의해 이뤄졌다고 술회한 바 있다.

커뮤니티 내부자들에 따르면 영국이나 네덜란드에 등록된 기업들을 위해 일하는 수많은 코딩 전문가들이 이 도시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독일에서 가장 활성적인 벤처 투자펀드인 그륀더폰트의 알렉산더 폰 프랑켄베르크 이사는 일반 기업들도 마침내 기회를 감지하고 있다고 말했다.이 펀드는 매출 기준으로 세계 최대의 화학회사인 BASF, 유명 엔지니어링 회사인 보쉬를 비롯한 굴뚝산업 회사들로부터 지원을 받아 유망 벤처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