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초중고 '유휴교실' 3209개… "타용도 전환 모색"
입력
수정
경기도 초·중·고교가 보유 중인 교실 중 마땅히 용도가 없는 유휴교실이 3천209실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10일 경기도교육청이 한세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마련한 '학생중심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한 유휴교실 활용 방안'에 따르면 2017년 9월 현재 예산 지원을 통해 수업 외에 다른 용도로 전환이 가능한 유휴교실은 초등학교 1천756실, 중학교 920실, 고등학교 533실로 집계됐다.이는 전체 교실의 3.7%를 차지하는 규모다.
교육부는 학교 유휴교실 개념을 '월 1회 또는 연간 9회 미만으로 사용하는 교실'로 정의한다.
일선 학교에서는 이를 근거로 유휴교실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나 도교육청은 지난해 학교 관리자와 행정직원, 학부모, 교수 등 20여명으로 구성된 TF팀을 꾸려 유휴교실 개념을 '현재 활용 중이더라도 발전적으로 전환 가능한 교실'로 재정립해 이번 조사에 적용했다.유휴교실의 발전적인 활용 방안 예로는 안전체험실, 스마트교실, 자료탐색실, 문화예술공간, 교사연구실, 청소년 모둠방, 주말체험센터, 북카페, 지역방과후교실, 지역도서관 등이 제시됐다.
경기도교육청은 최근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유휴교실 활용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앞으로 유휴교실 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이번 연구용역 결과 보고서를 참고할 수 있도록 도교육청 각 부서에 배포할 계획이다.
보고서에는 유휴교실 현황 외에도 국내외 활용 사례 연구, 활용 및 지원 방안 등이 포함됐다.도교육청 학교정책과 관계자는 "지금까지 유휴교실 용도는 교직원들에 의해 결정됐지만, 앞으로는 학생과 지역주민 등 구성원이 참여해 용도를 정하게 될 것"이라며 "보고서에 담긴 제언에 따라 도교육청내 심의·의결 기구 구성 등을 논의해 효율적인 유휴교실 활용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교육부는 학교 유휴교실 개념을 '월 1회 또는 연간 9회 미만으로 사용하는 교실'로 정의한다.
일선 학교에서는 이를 근거로 유휴교실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나 도교육청은 지난해 학교 관리자와 행정직원, 학부모, 교수 등 20여명으로 구성된 TF팀을 꾸려 유휴교실 개념을 '현재 활용 중이더라도 발전적으로 전환 가능한 교실'로 재정립해 이번 조사에 적용했다.유휴교실의 발전적인 활용 방안 예로는 안전체험실, 스마트교실, 자료탐색실, 문화예술공간, 교사연구실, 청소년 모둠방, 주말체험센터, 북카페, 지역방과후교실, 지역도서관 등이 제시됐다.
경기도교육청은 최근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유휴교실 활용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앞으로 유휴교실 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이번 연구용역 결과 보고서를 참고할 수 있도록 도교육청 각 부서에 배포할 계획이다.
보고서에는 유휴교실 현황 외에도 국내외 활용 사례 연구, 활용 및 지원 방안 등이 포함됐다.도교육청 학교정책과 관계자는 "지금까지 유휴교실 용도는 교직원들에 의해 결정됐지만, 앞으로는 학생과 지역주민 등 구성원이 참여해 용도를 정하게 될 것"이라며 "보고서에 담긴 제언에 따라 도교육청내 심의·의결 기구 구성 등을 논의해 효율적인 유휴교실 활용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