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과목 직접 신청해 공부… '고교학점제' 시범 도입

고교 교육력 제고 사업에 654억 투입

3월부터 105개교 시행… 온라인 공동교과도 추진
고등학생들도 대학생처럼 원하는 과목을 직접 신청해 듣는 ‘고교학점제’가 이번 학기부터 105개 고교에 시범 도입된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도 올해 처음으로 서울 등 6개 시·도교육청에서 시행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이 같은 ‘고교 교육 실험’에 총 654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8년 고교 교육력 제고 사업 지원계획’을 발표했다. 학생들이 적성과 진로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고를 수 있도록 해 학생 선택권을 강화하고, 과목별 칸막이를 허문 융합교육을 도입하는 게 핵심이다.

우선 고교학점제가 올 1학기부터 시행된다. 2022년 전국 고교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105개교를 연구학교(일반계 31곳, 직업계 23곳) 및 선도학교(일반계 51곳)로 선정했다.

연구학교는 고교학점제에 필요한 법과 제도를 완성하기 위한 일종의 실험 학교다. 학교당 매년 4000만∼5000만원씩 3년간 지원받는다. 선도학교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적용한 경험이 있는 고교로, 학교당 1년간 1000만원 안팎의 지원금을 받아 특색 있는 교육모델을 찾는 역할을 맡았다.온라인 공동교육과정도 올해 도입한다. 학생과 교사가 쌍방향으로 소통할 수 있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으로 시공간 제약을 벗어날 수 있어 교사나 학생 수 부족으로 개설하지 못했던 심화과목 등에 대한 과목선택권이 확대될 전망이다. ‘TED 강연을 활용한 심화영어’, ‘소설창작’ 등이 주요 사례다. 올 1학기엔 서울 등 6개 시·도교육청이, 2학기부터는 부산 등 5개 지역까지 참여해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키로 했다. 내년에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으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경제·외국어·예술 등 특정 분야에서 중점과정을 운영하는 ‘교과중점학교’도 늘리기로 했다. 예컨대 인천 대건고는 로봇공학 중점학교인데 ‘발명과 문제해결’, ‘모바일프로그래밍’ 등의 융합 과목을 개설해 운영 중이다. 지난해 기준 전국 교과중점학교는 364곳이었다. 올해는 여기에 60여 개교를 추가 지정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의 우려도 만만찮다. 고교학점제를 도입해도 현행 상대평가, 등급평가는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고교 성적이 대입에 직결되는 만큼 연구·선도학교 지정 전 학생과 학부모 동의부터 구했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