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부산 5년 내 '삶을 확 바꾸는' 스마트시티 된다
입력
수정
지면A2
4차산업혁명위, 시범도시 선정정부가 자율주행차·친환경에너지·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집적한 ‘스마트시티’를 세종시와 부산시에 조성한다. 지난해 8월 문재인 대통령이 “스마트시티를 국가전략사업으로 강하게 추진하라”고 주문한 뒤 처음 나온 시범사업이다. 추상적으로 논의되던 스마트시티가 특정 지역에서 현실화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위원장 장병규)는 29일 서울 세종대로 KT빌딩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시티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 부처가 모두 참여했다.세종시 북동쪽에 자율주행차 특화단지정부는 백지상태에서 새롭게 조성하는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전국 도시 39곳을 평가해 세종 5-1생활권(세종시 연동면 일대)과 부산 강서구 세물머리 일대(에코델타시티)를 최종 선정했다.
세종시, 자율주행차 특화도시로
농작물 재배에 AI기술 적용
제로 에너지 단지도 조성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수자원 관련 첨단 시스템 집적
'스마트 워터시티'로 개발
정부, 규제개혁·R&D자금 지원
2021년까지 완공 예정
치안 특화 등 테마형 단지
매년 4곳씩 선정 계획
세종시 5-1생활권은 자율주행차 특화도시로 조성한다. 자율주행차는 3차원 정밀지도, 차량과 교통신호 체계 간 지능형통신시스템(C-ITS) 확보가 핵심이다. 자율차 특화도시는 교통신호체계를 처음부터 자율주행차에 맞춰 설계한다. 승용차뿐 아니라 버스 등 대중교통수단도 자율주행 방식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또 제로에너지단지를 세우고 전력중개·판매 시범서비스를 도입한다. 일조량, 수분, 비료 등 농작물 재배에 필요한 요소를 AI 기술로 구현하는 ‘스마트 팜’도 조성한다.
사업지는 세종시 북동쪽에 금강을 끼고 있다. 고속철도(KTX) 오송역에서 14㎞ 떨어져 있다. 경부·중부·천안논산고속도로뿐 아니라 2025년 준공 예정인 서울세종고속도로와 연결한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사업자로 나서 274만1000㎡ 부지에 1만1400가구의 주택을 짓는다. 내년 상반기까지 실시설계를 마무리하고 착공해 2021년 12월 완공(입주)할 예정이다.에코델타시티엔 물 기술 집적
공구별로 지반공사가 한창인 부산 강서구 세물머리 일대 에코델타시티는 수자원 관련 첨단기술을 집적한 ‘스마트 워터시티’로 만드는 게 목표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와 부산도시공사, 부산시가 사업자로 나선다. 219만4000㎡ 부지에 3380가구의 주택을 짓는다.김해국제공항에서 5㎞, 부산신항만에서 12㎞ 거리다. 제2남해고속도로도 가깝다. 육·해·공 주요 국가교통망이 교차하는 요충지로 평가받는 곳이다. 바닷물과 대기 간 온도차를 ‘히트펌프’ 방식을 통해 에너지로 전환하는 수열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해 이를 도시 기간에너지로 활용할 계획이다.
가구별로 분산형 정수처리시스템도 설치하기로 했다. 드론(무인비행기) 관련 각종 실험을 할 수 있는 ‘드론 실증구역’도 마련한다. 내년 상반기까지 실시설계를 마치고 착공해 2021년 7월 준공할 예정이다.
민간 스마트시티 아이디어 공모정부는 스마트시티가 이른 시일 안에 안착하도록 ‘규제 샌드 박스(신제품이나 서비스 출시 전까지 관련규제 면제)’ 적용 등 규제개혁에 나설 방침이다. 연구개발(R&D) 자금 등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그러나 정부는 이날 구체적인 예산 규모 등은 밝히지 않았다. 손병석 국토부 1차관은 “아직 사업비를 예단할 단계는 아니다”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접목해 달라진 미래 생활이 느껴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 하반기에는 기업 대학 지방자치단체 등의 제안을 받아 상향식(bottom-up)으로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를 지정할 예정이다. 세종과 부산은 공공이 선도하고 나머지 지역은 민간 아이디어를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교통 치안 행정 등 ‘도시문제 해결형’, 친환경에너지 생활복지 등 ‘비즈니스 창출형’으로 구분해 R&D 실증단지 두 곳을 선도 지정하고, 이와 관련한 테마형 특화단지를 매년 4곳씩 선정할 계획이다.
장병규 위원장은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의 모든 기술과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그릇(플랫폼)으로서 의미가 있다”며 “6개월 단위로 추진 상황을 점검해 구체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