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잠한 서울 노·도·강 "투기지역 해제해 달라"
입력
수정
지면A24
현장 레이더“중계동은 확실히 오르는 모습인데 다른 동네는 잠잠합니다. 같은 노원구지만 동네별로 양극화가 진행되는 느낌입니다.”(중계동 Y공인 관계자)
"서민 사는 동네에 온갖 규제"
상계동·창동 아파트값 제자리
학원가 몰린 중계동만 강세
청구3차 1년새 1억5000만원↑
서울 강남에서 시작된 아파트값 상승세가 광진구 마포구 등 강북 한강변 자치구로 확대됐지만 서울 외곽 지역인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은 아직 조용한 편이다. 1~2년 전 갭투자가 유행한 노원구 상계동 소재 아파트는 강보합 수준에 그치고 있다. 다만 학군 수요 등이 뒷받침되는 중계동, 뉴타운으로 개발되는 성북구 장위뉴타운 등엔 매수세가 몰려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외곽지역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상황이 이렇다 보니 노원구를 강남권과 함께 투기지역으로 지정한 정부를 성토하는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학군 수요 몰린 중계동만 강세
2일 강남발 집값 상승세의 확산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 등 서울 외곽지역 중개업소를 둘러본 결과 중계동 중개업소만 분주했다. 중계동 ‘청구3차’ 전용 84㎡는 지난달 16일 7억원에 손바뀜했다. 지난해 2월 실거래가(5억5000만원)에 비해 1억5000만원 뛰었다. 바로 옆 ‘건영3차’ 전용 84㎡는 지난해 3월(5억5000만원)보다 1억원이 올라 지난달 6억5000만원에 매매됐다. 이들 단지는 학원가로 유명한 중계동 은행사거리 인근에 자리잡고 있다.이에 비해 길 건너 상계동이나 도봉구 창동 일대 아파트 가격은 제자리걸음이다. 지난해 초 5억3000만원에 거래된 도봉구 창동 ‘북한산아이파크’ 전용 84㎡는 지난주 5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1년간 2000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창동 E공인 관계자는 “매수 문의가 1주일에 한두 건뿐인데 그마저도 거래로 이어지는 경우는 적다”며 “1주일 새 1억원씩 오르는 다른 지역 집값을 보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고 전했다.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5단지’ 전용 31㎡는 지난달 3억3500만원에 거래돼 지난해 7월 말 실거래된 가격(3억7000만원)에 비해 3500만원 떨어졌다. 상계동 B공인 관계자는 “갭투자가 집중됐던 곳이라 아파트를 여러 채 들고 있는 투자자가 많다”며 “오는 4월 양도세 중과가 시행되기 전 집을 정리해 한 채만 남기려는 수요가 늘었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일선 중개업소들은 노원구를 투기지역으로 지정한 정부를 성토했다. 상계동 B공인 관계자는 “서민들이 살고 있는 동네를 강남권과 함께 세금 대출 등 19개 규제를 가하는 투기지역으로 지정한 게 말이 되느냐”며 “투기지역에서 하루빨리 해제해달라는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성북구선 장위뉴타운 반짝
서울 도심에서 노도강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자리잡은 성북구의 가격 상승폭도 크지 않았다. 성북구 길음동 대형 주택형 시세는 분양가와 비슷했다. ‘길음뉴타운 8단지 래미안’ 전용 114㎡는 10년 전 7억5000만원 선에 분양됐다. 입주 8년이 지난 지금 같은 주택형 호가는 7억~7억7000만원이다. 분양가보다 4000만~5000만원 떨어진 매물도 일부 있다.
중소형은 오르긴 했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잠잠한 편이다. 3억5000만원 선에 분양된 전용 59㎡는 현재 5억1000만~5억8000만원을 호가한다. 8년간 1억원6000만~2억3000만원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인근 K공인 관계자는 “절대가격이 저렴하다 보니 신혼부부 등 1~2인 가구의 중소형 수요가 꾸준하다”며 “반면 중대형은 수요가 많지 않고, 매물도 넉넉하다”고 전했다.다만 성북구 장위뉴타운 일대는 매물이 올라오는 족족 거래되는 추세다. 장위동 황금공인 관계자는 “전용 59㎡ 조합원 입주권이 1억4000만~1억6000만원 정도 프리미엄이 붙어 거래된다”며 “지난해 9월보다 3000만~4000만원가량 올랐다”고 전했다.
김형규/양길성/민경진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