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와 거리 먼데… 10억 들여 몽골에 숲 만드는 서울시
입력
수정
지면A2
아르갈란트에 2만 그루 조림서울시가 국내에 유입되는 황사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몽골에 축구장 140개 크기의 숲을 조성하고 있지만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당 지역에서 발원해 국내로 유입되는 황사와 미세먼지는 거의 없어 ‘혈세 낭비’ 논란이 예상된다.
전문가 "서울서 2100㎞ 거리
황사·미세먼지 영향 없는 곳"
대중교통 이어 또 '혈세' 논란
서울시는 올해 몽골 아르갈란트 솜(군·郡)에 20헥타르(㏊) 규모로 나무 2만 그루를 심는다고 5일 밝혔다. 몽골 사막에 방풍림을 조성해 국내로 유입되는 황사와 미세먼지를 줄인다는 취지다. 숲의 이름은 ‘미래를 가꾸는 숲’이다.
서울시는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4만 그루(40㏊)를 심었으며 숲의 면적을 100㏊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숲을 조성하는 데 드는 비용 약 10억원은 모두 서울시가 부담한다.
전문가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우선 숲이 조성되는 아르갈란트는 서울에서 북서쪽으로 2100㎞가량 떨어진 곳으로 한국에 황사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 지역이라는 설명이다. 미세먼지와도 관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국내에 유입되는 미세먼지는 산업시설이 밀집한 중국 동부와 북한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국립기상과학원 관계자는 “국내에 유입되는 황사의 80% 이상이 몽골 남쪽과 남동쪽 고비사막에서 오고 있다”며 “서울시가 숲을 조성하는 지역에서 한국까지 오는 황사나 미세먼지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숲의 관리가 쉽지 않다는 비판도 나온다. 서울시에 따르면 몽골에 심은 나무의 평균 생존율은 50% 안팎에 불과하다. 나무 열 그루를 심으면 다섯 그루 정도만 살아남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나무를 새로 심어야 한다는 얘기다.
서울시는 현지 주민을 나무 관리 인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갈매보리수나무나 차차르간 등 열매가 열리는 나무를 심은 뒤 이들이 열매를 팔아 소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몽골 주민들이 유목 생활을 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나무를 관리하게 하려면 정착을 유도해야 한다”며 “비닐하우스 농법을 이용한 상추, 토마토, 감자 재배기술도 전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서울시의 미세먼지 대책에 대해 ‘혈세 낭비’ 논란이 또 불거질 전망이다. 서울시는 미세먼지 대책의 일환으로 미세먼지가 심한 날 대중교통 요금을 무료로 하는 ‘서울형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올해 들어 세 차례 시행돼 150억원가량이 투입됐지만 실효성이 떨어지는 정책이라는 비판이 많았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