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탓에 무역적자 늘었다더니… 미국, 대한(對韓) 수출 '역대 최고'
입력
수정
지면A15
미국 상무부 '국가별 교역 통계'지난해 미국의 대(對)한국 수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한국에 대한 무역적자가 주요 교역국 중 가장 큰 폭(17%)으로 감소했다. 한국의 대미(對美) 무역흑자가 그만큼 감소했다는 의미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때문에 무역적자가 늘었으니 협정을 고쳐야 한다’는 미국의 주장을 반박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무역적자 17%나 감소
'FTA 개정' 반박할 근거 생겨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2/AA.15943933.1.jpg)
이에 따라 미국의 대한(對韓) 상품 무역수지(수출-수입)는 228억8740만달러 적자로, 2016년 275억7180만달러 적자보다 17%(46억8440만달러) 감소했다. 한·미 관계 싱크탱크인 한미경제연구소는 “지난해 미국의 전 세계 상품 무역적자는 2016년 대비 7.6% 늘었지만 한국과의 교역 추세는 반대 방향으로 갔다”고 말했다.
미국의 지난해 무역적자 규모 상위 15개국 가운데 중국 등 10개국에 대한 적자 규모는 2016년 대비 커졌으며, 한국 등 5개국에 대한 적자는 줄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의 가장 큰 교역국인 중국에 대한 무역적자는 지난해 3752억2800만달러로, 2016년보다 8.1%(282억1200만달러) 늘었다. 멕시코(67억300만달러 적자 증가), 일본(3800만달러), 아일랜드(21억4500만달러), 이탈리아(30억7500만달러)에 대한 적자도 증가했다.반면 한국(46억8440만달러 적자 감소), 독일(4억8400만달러), 말레이시아(2억1500만달러), 인도(14억4900만달러) 등에 대한 무역적자는 줄었다. 특히 대한(對韓) 무역적자 감소율과 감소액이 가장 커 한국은 2016년 미국의 무역적자 교역국 상위 7위에서 지난해 9위로 내려갔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