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면분할' 삼성전자 거래정지 안하는 방안 추진
입력
수정
지면A22
거래소·금투협 등 협의 나서50 대 1 액면분할을 결정한 삼성전자에 주식 거래를 정지시키지 않는 방안이 검토된다. 삼성전자 거래가 멈추면 상장지수펀드(ETF) 또는 현·선물 거래에 심각한 가격 왜곡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하루라도 거래정지 땐 ETF·선물시장 등 파장 커
"다른 상장사에도 적용 검토"

한국 증시에서 액면분할하려면 열흘 이상 주식 거래정지를 감수해야 한다. 현 규정대로라면 삼성전자는 다음달 23일 주총을 거쳐 4월28일부터 5월14일까지 11거래일 동안 거래가 정지된다. 구주권 제출과 주주명부 확정 및 등기, 주권 교부 등의 절차를 거치는 데 10일 안팎 소요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삼성전자 거래가 정지되면 파장이 만만찮을 것으로 우려된다. 삼성전자가 유가증권시장에서 차지하는 시가총액 비중은 19%, 코스피200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에 달한다. 삼성전자를 담는 각종 ETF는 물론이고, 현·선물 거래에도 차질이 생긴다. 전체 325개 ETF 중 삼성전자를 담는 상품은 총 84개에 달한다.

삼성전자 사례를 계기로 상장사 주식 명의개서 업무를 개선해 액면분할 및 감자 등에 따른 상장사 거래정지 기간도 아예 없애거나 대폭 줄이기로 했다. 무상감자는 통상 3주 이상 거래가 정지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그동안 액면분할이나 감자 거래정지 기간이 지나치게 길었다”며 “변경상장 때 시초가가 급등락하는 등 투자자 피해가 적지 않았다”고 말했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