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거용 신축 필지의 68%에 다세대주택 들어서"
입력
수정
서울연구원 연구 결과…도시변화 예측에 빅데이터 활용서울 내에서 신축이 일어난 주거용 개별 필지(공동주택 제외)의 68%에 다세대주택이 들어선 것으로 나타났다.김태현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이 26일 발표한 '서울시 저층 주거지의 주택 신축 동향과 영향요인 분석'에 따르면 2011∼2015년 신축이 발생한 서울 내 1만8천746필지 중 67.7%에 다세대주택이 세워졌다.
다가구주택은 17.3%를 차지했으며 다층주택(9.3%), 도시형생활주택(5.7%)이 뒤를 이었다.
김 연구위원은 "재건축·재개발 지역 외의 일반 시가지에서는 기존 단독·다가구 주택이 큰 규모의 다세대주택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건물대장, 인허가, 주택 거래 자료 등 빅데이터를 활용해 주택 신축 동향을 연구한 서울연구원은 올해 연구 대상을 비주거용 건물로 확대할 계획이다.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필지 단위의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인구, 산업 등의 변화 폭이 작은 저성장 시대에는 미세한 변화에 대한 예측과 대응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서울연구원은 오는 27일 대회의실에서 '데이터 마이닝과 도시변화 예측'을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열어 관련 연구자들의 최신 성과를 공유한다.
조기혁 울산과학기술원 교수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유동인구 예측, 박지만 한국국토정보공사 국토정보교육원 교수는 인공지능을 적용한 노인복지 취약지역 도출 및 복지예시설 소요예산 추정 결과를 소개한다.
/연합뉴스
다가구주택은 17.3%를 차지했으며 다층주택(9.3%), 도시형생활주택(5.7%)이 뒤를 이었다.
김 연구위원은 "재건축·재개발 지역 외의 일반 시가지에서는 기존 단독·다가구 주택이 큰 규모의 다세대주택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건물대장, 인허가, 주택 거래 자료 등 빅데이터를 활용해 주택 신축 동향을 연구한 서울연구원은 올해 연구 대상을 비주거용 건물로 확대할 계획이다.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필지 단위의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인구, 산업 등의 변화 폭이 작은 저성장 시대에는 미세한 변화에 대한 예측과 대응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서울연구원은 오는 27일 대회의실에서 '데이터 마이닝과 도시변화 예측'을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열어 관련 연구자들의 최신 성과를 공유한다.
조기혁 울산과학기술원 교수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유동인구 예측, 박지만 한국국토정보공사 국토정보교육원 교수는 인공지능을 적용한 노인복지 취약지역 도출 및 복지예시설 소요예산 추정 결과를 소개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