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강릉은 베이징올림픽 최적 전지훈련지"
입력
수정
지면A10
막 내린 평창 '흥행 금메달'2018 평창 동계올림픽은 ‘빚 잔치’ 우려를 말끔히 털어내고 흑자가 났다. 남은 과제는 대회가 끝난 뒤에도 경기장을 지속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희범 평창동계올림픽 및 동계패럴림픽 조직위원장은 “당초 목표대로 경기장들이 종합 스포츠시설로 활용되도록 하겠다”며 “2022년 동계올림픽이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데 이 과정에서 평창과 강릉의 좋은 시설이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올림픽 시설 활용 걱정 '뚝'
최소 예산으로 A급 경기장 완성
스포츠 교류 아시아 거점 될 것
이번 올림픽에서 사용한 경기장 등 13개 시설 중 7개는 신설하고 6개는 보완했다. 첨단 공법과 자재 및 기술 국산화 등으로 비용을 절감해 경제올림픽을 실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은 최신 제빙시설을 갖췄고, 강릉아이스아레나(사진)는 오전과 오후에 각각 피겨스케이팅과 쇼트트랙 경기를 병행할 수 있는 제빙 시스템을 구축했다. 강릉하키센터는 해체와 조립이 쉬운 구조로 설계한 데다 에너지 절약형 제습 공조기를 설치해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위원장은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는 트랙 시공기술을 국산화해 공사 기간을 18개월 단축하는 등 수입 대체 효과만 100억원에 이른다”며 “보광 스노보드경기장은 러시아 소치가 3년 이상 걸린 것을 단 3개월 만에 건설해 우수한 시공 능력을 세계에 알림과 동시에 52억원의 비용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최소 예산으로 A급 경기장을 완성했다는 것이다.이 위원장은 종목별 국제연맹(IF) 관계자들을 만날 때마다 “강릉과 평창을 활발하게 이용해 달라”고 요청한다. 그는 “평창올림픽 시설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IF의 인증을 받은 가장 경쟁력 높은 경기장”이라며 “이번 올림픽을 맞아 KTX 고속열차와 제2영동고속도로 등 교통과 숙박 인프라가 대폭 개선된 만큼 이용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음 올림픽 개최지인 베이징이 한국에서 가깝기 때문에 올림픽 전 훈련장소로도 최적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최문순 강원지사도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스포츠 교류 확대와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 공동 개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강원도가 대회 후 활용 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3개 경기장의 재정 분담 비율을 놓고 마지막 조율 중인 것으로 안다”며 “앞으로 평창과 강릉이 국내 동계 스포츠 발전과 글로벌 스포츠 교류의 아시아 거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위원장으로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