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당뇨 진단, X선 사진이 3차원 영상으로...기술 스타트업 '고수' 모였다
입력
수정
블루포인트파트너스 세미나 가보니인공지능(AI)이 당뇨를 진단하고 뼈의 나이도 알려준다. 2차원 X선 사진이 3차원 영상으로 변신한다. 필요한 건 사진 몇 장으로 충분하다. 해외 유명 의료기기 업체 기술이 아니라 국내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이 개발하고 있는 기술들이다.
국내 시장으론 사업 어렵다는 의견도
지난 27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롯데액셀러레이터 빌딩에서 첨단기술 전문 액셀러레이터(창업지원기관) 블루포인트파트너스가 주최한 세미나 ‘블루 새틀라이트’가 열렸다. 세미나에는 ‘차세대 의료영상분석기술’을 주제로 AI를 다루는 다양한 의료 전문 스타트업과 벤처캐피털(VC)들이 참여했다.세미나의 핵심은 AI였다. 발표자들은 AI를 활용한 영상분석이 의사들의 업무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또 딥러닝(심층학습)을 위한 양질의 영상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병원 간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첫 발표자로 나선 메디웨일은 안저(동공을 통해 볼 수 있는 안구 내부) 사진만으로 당뇨병을 진단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구글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해 당뇨성 망막병증 판별 정확도를 95%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사람이 직접 판별하는 것보다 정확한 수준이라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정규환 뷰노 CTO](https://img.hankyung.com/photo/201802/01.16097814.1.jpg)
자동차용 내비게이션처럼 수술 경로를 알려주는 수술용 내비게이션도 개발됐다. 휴톰은 의사가 수술로봇을 사용할 때 수술 진행을 보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양훈모 휴톰 대표는 “로봇을 사용한 수술이 상용화됐지만 여전히 의사 숙련도에 따라 수술 결과가 결정된다”며 “수술로봇에 AI를 접목하면 수술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끝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