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무역전쟁 리스크 어떻게 봐야하나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수입산 철강 관세 인상에 대해 유럽연합(EU)과 중국 등이 보복조치에 나설 것임을 경고하면서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감이 증폭되고 있다. 무엇보다 트럼프 대통령이 11월 미 의회 중간 선거에 올인(All-in)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이 단기간에 철회되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미 중앙은행발 긴축 악재에 있어 무역전쟁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추가적 악재로 대두된 것이다.

과거 사례를 보더라도 보호무역주의 확산 분위기는 글로벌 금융시장에 부담을 준 바 있다. 대표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와 유사한 정책을 추진했던 조지 W 부시 행정부 당시 보호무역주의 조치 사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조지 W 부시 대통령은 미국 철강산업 보호, 더 나아가 소위 러스트 벨트지역의 정치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2년 3월 수입산 철강제품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조치를 발동한 바 있다. 이후 미국 주가와 달러화 가치는 큰 폭의 조정을 기록하였다. 물론 보호무역조치만으로 미국 주가와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 것은 아니다. 2001년 9.11테러 이후 미국 경기 둔화와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지정학적 불안감이 미국 금융시장 불안의 주된 요인이었지만 보호무역주의 조치도 금융시장에 일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처럼 미국 중앙은행(Fed)의 긴축 리스크보다 무역전쟁 확산은 글로벌 경기와 증시에 더욱 큰 부담을 줄 수 있는 리스크이다. 특히 중국 등이 미국 보호무역주의 정책의 맞대응 카드로 미국 국채 매각 수단을 활용할 경우 금융시장 불안이 더욱 확산될 여지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무역전쟁 리스크 부각이 반드시 2002년과 같은 증시 조정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향후 무역전쟁이 글로벌 무역흐름에 어느 정도의 부담을 줄지 모르겠지만 현 글로벌 교역사이클은 강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지난 2014년 고점 수준에 이르고 있다. 무역갈등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지 않는다면 이러한 교역확대 흐름은 이어질 공산이 높은 상황이다.더욱이 미국 경기상황은 2002년 당시에 비해 매우 견조한 상황이다. 2002년에는 미국 경기사이클이 침체국면에서 벗어난 초기국면으로 경기흐름이 불안했지만 현 미국 경기는 장기 경기확장에도 불구하고 경기 모멘텀이 더욱 강화되고 있는 국면이다.

또 하나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긴축 리스크가 완화될 수 있음이다. 무역갈등이 당분간 지속된다면 Fed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현재보다 빨라지기는 힘들어 보인다. 특히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BOJ)의 조기 양적완화 종료 가능성 역시 낮아질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2월부터 고조된 긴축리스크가 오히려 완화될 여지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정책 불확실성은 달러화 약세 압력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미국 통상압박에 대해 주요국이 일단 맞대응 조치를 하겠지만 무역전쟁을 회피하기 위해 자국 통화가치 절상 등의 노력도 병행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미 중간선거 이전까지 무역수지 해소 및 자국산업 보호를 강조하기 위해 대미 무역수지 흑자국에 대한 통화절상 압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달러화 약세 현상은 긴축사이클에 노출된 이머징 금융시장 불안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원자재 가격의 추가 상승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이머징 경제와 금융시장에 우호적 변수 역할을 할 수도 있다.다만 수입 관세인상과 달러화 약세가 중장기적으로 미국내 수입물가 상승 등을 통해 물가압력을 확대될 시킬 수 있음은 잠재적 리스크이다.

요약하면 무역전쟁 리스크는 분명히 글로벌 경기와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무역전쟁 확산이 궁극적으로 미국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임을 감안하면 향후 무역전쟁이 더욱 확산될지 여부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다행인 것은 양호한 글로벌 경제 펀더멘털, 긴축리스크 완화 및 달러화 약세 가능성은 무역갈등의 부정적 영향을 어느 정도 흡수할 여지가 있어 금융시장의 불안도 증폭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11월 미 의회 중간선거 이전 트럼프 불확실성 리스크가 수시로 고조될 수 있음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박상현<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 shpark@hi-i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