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조선 10번 실사 결과 제각각… "구조조정 타이밍 놓쳤다"

존속가치 최대 2조 차이
시기따라 '고무줄 실사'

8년 허송세월 뒤 법정관리
수출입은행 등 채권단이 2010년부터 성동조선해양에 대한 실사를 10차례나 했지만 실사 결과를 자의적으로 해석하면서 구조조정 타이밍을 놓쳤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실사할 때마다 청산가치와 존속가치가 다르게 나와 회계법인이 채권단 입맛에 맞는 실사 결과를 내놓은 것 아니냐는 비판도 받고 있다.
9일 박주현 바른미래당 의원에 따르면 성동조선 존속가치는 실사 시기에 따라 2조원 넘게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권단은 2010년 7월 회계법인으로부터 성동조선의 존속가치가 2조6691억원으로, 청산가치 1조 6178억원보다 1조원가량 많다는 결과를 받았다. 채권단은 이를 바탕으로 성동조선에 72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수혈했다. 이 같은 지원으로 2014년 기준 295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성동조선은 2014년 5793억원 당기순손실을 입었다.2011년 8월 2차 실사 때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왔다. 청산가치가 1조4700억원으로 존속가치 2200억원보다 1조2000억원가량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동조선의 문을 닫는 게 더 이득이라는 뜻이다. 국민은행은 이 실사를 계기로 채권단을 탈퇴했다.

은행들의 이탈 조짐이 보이자 수출입은행을 중심으로 한 채권단은 서둘러 다른 회계법인에 실사를 다시 맡겼다. 결과는 4개월 만에 뒤집어졌다. 성동조선을 살려둘 때 1조9248억원의 존속가치가 있는 반면 문을 닫았을 때는 이보다 6000억원가량 적은 1조3204억원을 회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채권단은 이를 바탕으로 2012년 5월 5500억원의 자금을 추가로 성동조선에 투입했다.

이후 2015년까지 채권단은 총 다섯 차례 성동조선을 실사했고, 결과는 모두 존속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높다고 나왔다. 하지만 실사의 전제가 너무 낙관적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무역보험공사는 2012년 8월과 2013년 11월에 이뤄진 실사에서 조선해운시황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전망했다는 이유로 반대매수청구권 행사를 통지했다.전문가들은 채권단이 매번 현실과 괴리가 있는 전망을 전제로 한 실사와 자금지원을 반복하며 성동조선에 대한 구조조정 적기를 놓쳤다고 비판한다. 박 의원은 “지금이라도 성동조선의 법정관리행을 결정한 게 다행이지만 그동안 투입된 4조원가량의 자금을 감안하면 만시지탄”이라고 지적했다.

성동조선 법정관리 신청 결정의 중요한 계기가 된 이번 실사보고서 내용도 지난해 12월 실사와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 지난해 실사 결과 성동조선의 청산가치는 7000억원가량으로 존속가치 2000억원의 세 배 이상 된다는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정부와 채권단은 지역경제와 일자리 등 산업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이유로 다시 실사를 벌였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