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창] '일본 몰이해'가 경제적 손실 부른다
입력
수정
지면A33
즉흥적인 대일 정책은 낭패만 불러일본 실정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한국은 역사적으로 큰 타격을 입어왔다. ‘알아야 면장이라도 한다’는데 요즘같이 일본과 티격태격하는 식이라면 또다시 큰코다칠까 걱정이다. “뭐 그리 경계할 것 있겠나” 하며 한국은 일본을 대수롭지 않게 치부하는 듯하다. 여기에 함정이 있다. 한반도를 식민지배했던 일본이다. 대일(對日) 정책을 즉흥적으로 가져가다가는 낭패를 본다. 프로의식 없는 일본 다루기로 큰 손해를 보고 있음을 경솔한 언행, 비일관성, 신용의 가치 등을 들어 분명히 해보자.
일관성 유지하며 신용 쌓아 나가야
우선, 경솔한 언행으로 인한 막대한 손실이다. 특히 지도자의 언행은 일반인과는 차원이 다른 파괴력을 갖는다. 대표적인 예가 2012년 이명박 당시 대통령의 독도 방문 및 “일왕(천황)이 사죄해야 한다”는 발언이었다. 일본을 상대할 때 ‘금기 중의 금기’가 천황의 잘잘못을 들먹이는 일이다. 일본인에게 천황은 ‘사람의 모습으로 이 세상에 나타난 신(神)’을 의미하는 ‘아라히토가미(現人神·현인신)’인지라 잘잘못을 운운할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천황 사죄 발언은 벌집을 건드린 꼴이 됐고, 일본인들을 혐한(嫌韓) 감정으로 몰아갔다. 한류 열풍에 찬물을 끼얹어 관련 매출은 급감했고 문을 닫는 가게가 속출했다. 일본 몰이해 언행으로 인한 엄청난 경제적 손실의 여파는 아직도 가시지 않고 있다.다음은 비일관성으로 야기되는 손실이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기존 제도나 정책의 물갈이는 한국에선 이제 관습화하다시피 했다. 한국 내에서 끝난다면 그러려니 하겠는데, 한·일 관계에까지 국내 관습을 적용하다 보니 된통 손해를 보고 있다. 통탄할 일이었지만 박근혜 정부는 임기 말 ‘위안부 문제는 최종, 불가역적으로 해결됐다’고 일본과 공식 합의했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 1월 “내용과 절차에 잘못이 있었다”며 위안부 문제의 미(未)해결 입장을 밝혔다. 그렇더라도 한국 ‘정부’로서의 비일관성은 약점으로 남아 있다. 많은 일본인이 비일관적인 행동의 한국을 회피했다. 예컨대 2017년 일본 방문 한국인 수는 714만 명에 이른 데 비해 한국 방문 일본인 수는 231만 명에 불과했다. 일본인들의 한국 기피로 인한 손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신용의 가치를 경시해 나타나는 손해다. 답답할 정도로 신용을 중시하는 일본이다 보니 약속을 어기면 원상회복이 너무 어려워진다. 어른들은 싸우는 아이들에게 화해하라 을러대지만, 정작 어른들이 다퉜을 땐 평생 화해 없이 지내곤 한다. 일본인들은 싸우면 양쪽 모두 배제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감각적으로 터득하고 있다. 그런 감각이 굳어져 서로 싸우지 않고 해오던 거래를 지속하는 쪽으로 습관이 배어 있다. 이는 일본인들과는 신용을 쌓으며 자연스럽게 장기 거래로 이어져야 함을 말해준다. 일시적인 이익을 위해 관계를 쉽사리 저버리지 않는 곳이 일본이다.
약속을 어기고 나서 ‘술 한잔하며 풀면 되겠지’ 하는 사고는 안이한 생각이다. 다툰 일본인에게 술 한잔하자고 해도 좀처럼 응하지 않을뿐더러, 설사 응한다 해도 속내를 털어놓지 않아 수박 겉핥기식으로 끝나기 십상이다. 한국의 잣대로 일본을 잘못 재단하다가는 크게 손해본다. 지난 1~2월 한국무역협회 도쿄지부의 주일 한국기업 조사에서도 “한·일 관계 악화로 비즈니스에 악영향을 받는다”고 답한 기업이 73.5%에 이른다. 한·일 관계 개선에 식견을 갖춘 이가 꽤 많은데도 불구하고 이들의 지혜를 살리지 못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
국중호 < 일본 요코하마시립대 교수·경제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