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자동화 산업전 코엑스서 개막

사람과 함께 작업하는 '생산 로봇' 눈길

대성화스너 중기부장관상
독일 스마트공장 설비 기업 터크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18’에서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김영우 기자 youngwoo@hankyung.com
자동차 엔진 등에 쓰이는 단조 볼트를 제조하는 중소기업 대성화스너. 이 회사는 지난해 업계 최초로 생산현장에 스마트공장 기술을 도입했다. 단조설비에 붙인 거리센서는 0.01㎜의 오차까지 감지할 수 있다. 생산한 볼트가 필요 이상으로 눌렸는지 또는 덜 눌렸는지를 감지한다. 이 외에 공작기계(CNC) 등 다양한 생산장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을 도입한 뒤 불량률이 10% 이상 낮아지고 제품 생산부터 출하까지 걸리는 시간은 36시간에서 31.5시간으로 단축됐다. 이맹열 대성화스너 대표는 “까다롭게 품질을 관리하는 현대·기아자동차 등 고객사의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전했다. 매출 40억원 규모인 대성화스너는 스마트공장 도입을 위해 1억1000만원을 투입했다. 이 중 5000만원은 정부에서 지원받았다.

대성화스너는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18’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받았다. 업계 최초로 스마트공장 기술을 생산현장에 도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대성화스너 외에 스마트공장 확산에 힘쓴 지에스티 등 20개 개인·기업이 장관상을 수상했다.지난해에 이어 2회를 맞은 이번 행사에는 480개 스마트공장 관련 기업이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의 핵심은 효율성과 안전이었다. 지멘스 터크 등 해외 기업은 초음파·광학 센서 등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스마트공장 기술로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솔루션을 선보였다.

생산시설 내에서 사람과 로봇이 함께 작업하는 높은 수준의 스마트공장을 위한 제품도 눈길을 끌었다. 국내 기업 테크플로어는 사람과 함께 작업할 수 있는 생산로봇을 선보였다. 가정용 청소로봇처럼 스스로 움직이는 로봇은 레이저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 사람을 인식하면 멈추거나 스스로 피해 돌아갔다. 작동 중인 팔이 사람과 부딪히면 작동을 멈췄다. 삼성전자 등 반도체 대기업이 테크플로어의 로봇을 사용 중이다.

홍종학 중기부 장관은 “2016년까지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기업들의 생산성이 30% 높아지고 불량률이 45% 이상 감소하는 등 성과가 나오고 있다”며 “2022년까지 2만 개 공장에 스마트공장 시스템이 도입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