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인상 3개월 만에… 8년간 숨죽였던 치킨값도 오른다

최저임금發 생활물가 상승
치킨·피자·영화 1위 업체 "인건비 상승 못 견뎌"

배달 대행업체 수수료·인건비 상승에
교촌치킨 "내달부터 배달료 2000원 받겠다"
눈치만 보던 BBQ·bhc도 곧 합류할 듯
최저임금과 배달 수수료, 임대료 등 각종 물가 상승으로 치킨과 피자 프랜차이즈 1위 업체들이 가격을 인상하거나 배달료를 받기 시작했다. 6일 서울 아현동 교촌치킨 북아현 1호점(왼쪽)과 용산구 도미노피자 후암점(오른쪽) 앞을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
치킨과 피자는 가장 대중적인 먹거리다. 영화 관람도 비교적 낮은 가격에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문화생활이다. 그래서 작은 가격 변동에도 소비자와 정부 당국은 민감하게 반응한다. 업계 선두주자인 교촌치킨, 도미노피자, CJ CGV가 6일 일제히 가격 인상을 발표한 것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더 이상 감내하기 힘들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작년 말부터 외식 물가가 줄줄이 올랐지만, 치킨업계는 정부와 여론을 의식해 값을 올리지 못했다. 교촌치킨이 총대를 메고 가격 인상을 단행한 만큼 눈치만 보고 있던 BBQ와 bhc 등 다른 업체도 인상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전망된다. 교촌치킨은 2012년부터 3년간 일부 메뉴에 한해 가격을 올린 적은 있지만 전체 메뉴 가격을 인상하는 건 2009년 이후 처음이다. BBQ와 bhc도 각각 9년, 6년째 가격을 동결해 왔다.
◆“치킨 배달 시키면 돈 받겠다”

교촌치킨이 치킨값 인상 대신 배달 수수료를 받기로 한 것은 정부와 소비자 단체의 압박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프랜차이즈 치킨 가격은 본사의 권장 사항이다. 매장마다 자체 조정할 수 있지만 ‘동일 메뉴, 동일 가격’을 기대하는 소비자를 의식해 가급적 같은 가격을 유지한다.

지난해 5월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들은 가격 인상을 추진하다 홍역을 치렀다. BBQ는 8년 만에 치킨 가격을 900~2000원 올렸다가 정부의 강한 압박과 소비자 반발에 부딪혀 이를 철회했다. 교촌치킨도 비슷한 시기 1000원 인상을 추진했지만 무산됐다.그 사이 최저임금과 임대료, 배달료가 급등하면서 가맹점의 부담이 가중됐다. 치킨 가격을 올리지 못하자 소비자에게 배달료를 청구하는 가맹점이 등장했다. 무료로 제공하던 콜라와 무 등의 서비스 메뉴를 유료화한 곳도 나왔다.

◆치킨의 가격 구조 어떻길래

국내 음식배달 시장 규모는 15조원 정도다. 이 중 치킨이 20%가 넘는 약 3조5000억원을 차지한다. 치킨은 수십 년간 무료 배달 서비스를 기반으로 성장해 배달료 부과에 대한 소비자 저항이 다른 업종보다 클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를 감수하고도 가격 인상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은 점점 늘어나는 배달수수료 때문이다.치킨의 원재료인 생닭 가격은 마리당 3000원 내외로 일정하다. 농가와 공장이 장기 계약을 맺기 때문에 수급 상황이 달라져도 가격 변동이 크지 않다. 1만8000원짜리 치킨 한 마리를 팔면 가맹점주가 가져가는 이익은 2000~3000원 선이다.

이 수익은 최근 500~1000원으로 뚝 떨어졌다. 모바일 주문 앱(응용프로그램) 시장이 커지면서 급감했다. 치킨의 주 소비층인 10~20대는 ‘배달의 민족’ ‘배달통’ ‘요기요’ 등 앱으로 많이 주문한다. 가맹점은 앱을 통해 주문받으면 앱 운용사에 총 금액의 10% 내외를 수수료로 지급해야 한다.

주문 앱 시장이 커지자 배달 대행 업체도 등장했다. ‘부릉’ ‘바로고’ ‘배민라이더스’ ‘식신히어로스’ 등은 배달만 대행해주는 업체다. 주문이 몰릴 때 가맹점주가 인근 오토바이 배달부에게 콜을 띄워 부르는 방식이다. 치킨 가맹점이 배달부를 직고용하면 월 300만~400만원의 월급 외에도 유류비, 보험료 등이 든다. 주문이 없는 시간에도 시간당 근무 수당을 줘야 하기 때문에 많은 가맹점이 배달 대행업체로 넘어갔다.하지만 배달 대행업체 수수료마저 오르면서 부담이 커졌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서울 지역 1.5㎞당 배달 대행료는 3000원이었지만 올 들어 약 16.7% 올라 3500원이 됐다. 한 가맹점주는 “치킨 한 마리를 앱을 통해 주문받으면 가맹점은 여러 수수료 명목으로 약 4500원을 내야 한다”며 “임차료와 전기세 등을 빼고 남는 순수익이 500원도 안 될 때가 많다”고 말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