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ELT 상품 과열 경쟁에… 제동 건 금융당국

작년 ELT 판매 40조8000억
전년 대비 23조7000억 늘어

"은행, 위험성 제대로 안 알렸다"
불완전 판매 집중 점검 나서
금융감독원이 과열 조짐을 보이는 은행권의 주가연계신탁(ELT) 판매 경쟁에 제동을 걸었다. 은행들이 위험성을 제대로 알리지 않고 ELT를 팔아 주가연계증권(ELS) 판매액이 급증했다고 보고 관리감독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김기식 신임 금감원장이 ‘금융소비자 보호’를 기치로 내건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감원은 “은행에서 판매하는 ELT를 고객들이 예금과 같은 원리금 보장상품으로 오인할 소지가 큰 만큼 불완전판매 행위를 집중 점검할 예정”이라고 9일 발표했다.ELT는 증권사가 발행한 파생결합증권인 ELS를 은행 신탁계정에 편입한 상품을 말한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ELS 판매액은 81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1조8000억원(64.5%) 증가했다. 2003년 ELS가 출시된 이래 최대 규모다.

ELS 판매 증가를 주도한 것은 은행들이었다. 지난해 은행권 ELT 판매액은 40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3조7000억원 늘었다. 전체 ELS 판매액에서 차지하는 비중(50.3%)도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섰다.

금감원은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고위험 상품인 ELS 판매가 주로 은행에서 늘어난 점에 주목했다. 지난달 28일엔 금감원이 은행권에서 판매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신탁상품에 대해 소비자경보 ‘주의’ 단계를 발령했다. 2012년 소비자경보 제도 도입 이후 특정 금융상품을 대상으로 경보가 발령된 것은 처음이었다. ETF 역시 ELT와 마찬가지로 은행권 판매 규모가 2016년 4조6000억원에서 지난해 10조200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은행들이 수수료 챙기기에 혈안이 돼 소비자들에게 상품구조나 손실 위험을 제대로 고지하지 않고 ELT 등 신탁상품을 팔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선 은행창구에서 ELT를 “정기예금 대비 높은 이자를 지급하면서도 손실 위험은 거의 없는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홍보하며 판매 권유가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ELT가 편입한 ELS는 기초자산으로 삼은 특정 지수나 주가가 일정 범위를 넘어서 손실구간(녹인)에 진입하면 원금을 잃을 가능성이 있는 상품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 판매직원들을 대상으로 상품 숙지 의무, 적정성 원칙 준수, 투자자 숙려제도 이행 여부 등을 살펴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