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IPO EXPO 2018] 시총·자기자본·세전이익 중 하나만 충족해도 상장 가능
입력
수정
지면A10
나스닥처럼 상장 요건 완화이달부터 코스닥 상장 문턱이 더 낮아지면서 기업공개(IPO)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 25일 열린 ‘IPO 엑스포 2018’에서도 나스닥처럼 바뀐 코스닥 상장 요건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
계속사업이익·자본잠식 등
형식적 심사기준 아예 없애
수익성장성 중심으로 개편

새로운 코스닥 상장 제도는 미국 나스닥처럼 상장 진입 요건을 수익성 중심에서 성장성 중심으로 바꾼 게 핵심이다. 종전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려면 ‘계속사업이익이 나고, 자본잠식이 없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은 기본이고 시가총액, 매출, 자기자본 등 다양한 추가 요건을 충족해야 했다.
이 같은 형식적 심사 기준이 간소화됐다. 계속사업이익과 자본잠식 관련 조건이 사라졌다. 금융위는 나스닥과 마찬가지로 시총과 자기자본, 세전이익 중 한 가지만 충족해도 상장 청구를 할 수 있게 했다. 구체적으로 △상장 후 시총(공모가 기준)이 1000억원 이상 예상되거나 △자기자본 250억원 △세전이익 50억원 중 한 가지 요건만 충족해도 코스닥 상장에 도전할 수 있다. 혁신기업의 IPO를 지원하기 위한 조치다. 당장 이익이 나지 않더라도 성장성이 확보되면 상장 요건을 완화해 주는 ‘테슬라 요건’이 대폭 확대된 것이다.상장 요건이 개편되면서 코스닥 IPO 청구 가능 기업은 4454개사에서 7264개사로 62.7% 급증한 것으로 추산된다. 전체 외부감사 대상 비상장기업 1만8600여 개사 가운데 약 15%가 상장에 도전할 수 있게 된 셈이다.
강병모 한국거래소 코스닥 상장제도팀장은 “성장 잠재력이 높은 혁신기업이 원활히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이익 중심의 진입 요건을 성장성 중심으로 바꾸면서 IPO 관심 기업이 크게 늘어났다”며 “새로운 진입 요건에 해당하는 업종은 정보기술(IT)과 의약·바이오, 금융서비스, 소프트웨어 업체 순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