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해양환경공단, 국민중심 서비스제공 기관으로 새출발

국내 유일의 해양환경 전문기관인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지난해 10월 31일 개정·공포된 ‘해양환경관리법’ 시행에 따라 5월 1일부터 명칭에서 관리를 떼어내 ‘해양환경공단’으로 기관 명칭을 바꾸고 새롭게 출발했다. 이는 관리라는 용어에서 보여질 수 있는 지휘·통제·관료적 이미지를 털어내고 공급자 중심에서 국민중심 서비스제공기관으로 거듭나겠다는 공단의 의지와 공단에 대한 기대를 반영한 것으로, 앞으로 해양환경공단의 변화에 관심을 갖게 된다.

공단은 1997년 한국해양오염방제조합으로 출범해 2008년 1월 해양환경관리공단으로 확대·개편된 후 해양환경의 보전·관리·개선 및 해양오염 방제 등을 효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해양환경 보전·개선의 선도적 역할

공단은 창립 이후 해양환경 전문기관으로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부지런히 달려왔다. 먼저 기후변화 등 해양생태계 이상징후에 대한 진단과 장단기 변화예측을 위하여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매년 전국 연안 425개 정점에서 해양수질을 측정하고 데이터를 관리하며 국가 해양환경 정책에 활용하고 있다.

해양생태계의 체계적인 보전을 위하여 전국 연안에 순천만갯벌 등 28개의 해양보호구역을 지정·관리하면서 해양생태계 가치 제고에 힘쓰고 있으며, 77종의 보호대상해양생물과 15종의 유해해양생물 지정·관리를 통하여 건강한 해양생태계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해파리 폴립, 갯끈풀 등은 체계적인 조사 예찰을 통해 신속히 제거해 나가고 있다.또한 날로 커져가는 해양쓰레기 문제에 대한 체계적 대응을 위해 2011년부터 해양쓰레기대응센터를 설치하여 해양쓰레기 전국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국제연안정화의 날 행사 개최 등 대국민 인식증진을 위한 교육·홍보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국내 항만 및 주요 해역에서 연평균 3,000여 톤의 해양 침적쓰레기를 수거하여 깨끗한 해양공간 조성과 선박의 안전 운항에 기여하고 있다.

◆ 국내 최고 수준의 해양환경 인프라 구축

공단은 해양환경 전문 인프라 구축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해양수질·퇴적물·해양생물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해양환경 조사센터(연면적 4,263㎡ 규모에 지상 4층)를 부산 영도 동삼동에 건립중에 있으며 2019년 2월 센터가 준공되면 해양환경분야의 측정·분석 능력이 한층 강화될 것이다.또한 국내 최초로 악천후 속에서도 방제가 가능한 5,000톤급 다목적 대형방제선 건조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다목적대형방제선(길이 97m, 폭 17m)은 중·소형 방제선으로 대응이 불가능한 대규모, 악천후 오염사고 발생시 투입하여 방제활동을 수행하고 평상시에는 준설 및 해상부유쓰레기 수거 업무가 가능한 선박이다. 2021년 말 건조가 완료되어 실전 배치되면 우리나라의 유류오염사고 대응 체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환경 교육 확대를 위해 2011년 부산 영도에 개원한 공단 산하 해양환경교육원은 해양오염방지관리인 등 법정교육을 시행하며, 인공조파수조를 갖춘 방제대응 훈련과 연구 기반 시설을 갖추었다. 특히 2016년 3월 ‘국가해양환경교육센터’로 지정된 후 ‘찾아가는 해양환경 이동교실’을 운영해 교육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 학생들에게 해양환경 전문 교사가 수준별 교육을 제공함은 물론, 해양환경교육 강사단 운영, 해양환경교육기관 지정, 교재 개발 등 국가 해양환경교육의 기반을 다지고 있다.

◆미래 성장동력 발굴 및 핵심 사업화공단은 미래혁신 新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적극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 4월에는 공단이 해양수산분야 ‘국가온실가스 통계 산정기관’으로 지정되어 온실가스 통계 관련 분산된 정보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었고, 특히 해양탄소흡수원인 블루카본(Blue Carbon) 관리기술 개발로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블루카본은 갯벌, 잘피, 염생식물 등 연안에 서식하는 식물과 퇴적물을 포함한 해양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일컫는다. 우리 정부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의 37%인 약 3억톤을 줄일 계획이며 공단도 이에 발맞추어 육상 중심의 온실가스 흡수원 이외에 해양 흡수원을 발굴해 국가가 당면한 과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또한 지난해 8월 공단이 EEZ 골재채취단지를 관리하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골재채취단지 관리를 위한 전담 조직을 신설하였다. 그동안 남해 EEZ 골재채취를 둘러싸고 골재업계와 어업인 간에 첨예한 갈등이 지속되어 현재까지 골재채취가 중단되고 있는 상황인데 앞으로는 공단이 단지관리자가 되서 해양생태계와 어족자원 등을 고려한 친환경적인 골재단지 관리방안을 마련하여 갈등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더불어, 국내 연안에 침몰되어 있는 2,200여척의 침몰선박 가운데 기름유출 등 해양오염의 우려가 있는 선박들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확대하고, 인양 또는 잔존유 제거가 시급한 선박은 우선 조치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해양공간 관리, 해양미세플라스틱 측정 관리, 해양기후변화 및 미세먼지 등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들에 대해서도 공단의 역할과 대응노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가치 실현 노력 강화

공단은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과 공정한 채용 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금년에도 16명을 신규 채용하고, 비정규직 39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한, 중소기업과의 성과공유제 확대 등 동반성장을 지원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기회제공과 국민 공감의 나눔문화 확산 등 사회공헌활동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인권, 안전, 윤리 등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박승기 해양환경공단 이사장은 “명칭 변경과 함께 국민 중심의 공적서비스를 제공하고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가치 실현에 앞장서는 해양환경공단이 되겠다”며, “권위적인 자세를 버리고 정책 결정과 추진과정에 고객과의 소통과 참여를 확대하며, 해양환경 이슈에도 선제적이고 예방적인 대응을 통해 깨끗하고 건강한 바다를 만들어 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