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노동시간 단축으로 일자리 창출"… 노사정협약 제안
입력
수정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노동시간 단축이 일자리로 연결되도록 정부와 사용자단체에 일자리연대협약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원 포인트 사회적 대화를 추진하고 사회적 합의 결과를 현장으로 확산시켜 나가야 한다"며 "정부에는 더 실효성 있는 후속 대책을 촉구한다"고 부연했다.
김 위원장은 "(노동시간 단축) 제도 시행이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정부 대책은 늦어지고 있고 산업 현장의 불안과 우려는 날로 깊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노동시간 단축을 통해 노동자의 삶의 질을 개선한다는 법 제도 개선 취지를 고려할 때 임금보전 대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며 "(기업에도) 신규 인력 채용과 작업 공정 개편에 수반되는 설비투자, 신규채용 인건비 부담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특례업종에서 제외되는 시내버스·시외버스·고속버스의 경우에는 당장 7월 1일부터 운행 차질로 인한 교통대란이 예고되고 있다"며 "여전히 특례업종으로 남아있는 병원에서는 장시간 노동으로 환자의 생명·안전이 위협받고 있다"고 우려했다.
김 위원장은 "노동시간 단축 취지와 일자리 창출에 역행하는 시행 유예, 특례업종 추가, 노동시간 적용 예외 확대,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 기간 확대 등 터무니없는 제도 개악은 절대 용납할 수 없으며 총력 투쟁으로 단호히 맞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노총은 이날 산하 조직에 ▲ 연장 노동 포함 주 52시간제 전면적 조기 도입 ▲ 실노동시간 단축 및 교대제 개편을 위한 노사공동위원회 설치 ▲ 노동시간 상한제 및 적정 인력 확보 ▲ 생활 수준 저하 없는 적정 임금 확보 ▲ 포괄임금제 남용 등 위법한 노동시간제 철폐 등 현장 대응 지침을 내려보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