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북미회담 정해지자 "文-金, 조만간 핫라인 통화"
입력
수정
북미 정상회담 일정이 정해지면서 청와대는 조만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핫라인(직통전화) 통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1일 기자들과 만나 '북미 정상회담 일정이 정해졌는데, 핫라인 통화는 언제 하느냐'는 물음에 "조만간 이뤄질 것"이라고 답했다. 북미 회담은 내달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다. '(핫라인 통화가) 정확히 언제 이뤄지느냐'는 질문에는 "오늘이 금요일 아닌가"라고 반문하면서도 "언제일지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그동안 청와대에서는 "핫라인 통화는 북미 회담 일정 발표 후가 될 수 있다. 김 위원장과 얘기할 소재가 생기는 셈이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북미 회담이 싱가포르에서 개최된다는 사실을 한국 정부가 언제 알았느냐는 질문에는 "어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를 보고서 알았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북미 회담 다음날 6·13 지방선거가 열리는 것과 관련해서는 "날짜와 장소를 정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한 일이다. 지방선거와는 관계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한국 정부는 판문점을 원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아쉽지 않나'라는 물음에는 "분단의 상징으로 판문점의 역사와 맥락을 이해하고 있는 한국 입장에서는 판문점이 더 낫지 않을까 싶었던 것"이라면서도 "북한과 미국이 입장을 정한 것이니 존중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달 28일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통화할 때에도 싱가포르가 유력하게 거론됐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2~3곳이 거론된다고 청와대에서 설명한 바 있는데, 한 곳은 의미가 없는 장소이고, 나머지 2곳이 싱가포르와 판문점이었다"며 싱가포르가 애초부터 유력하게 논의가 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최근 평양이 유력한 후보지로 떠올랐다는 보도도 있었다'라는 물음에는 "(평양 개최 가능성이) 전혀 없지는 않았던 것 같다"며 "계속 상황이 변하다가 애초 유력했던 싱가포르로 최종적으로 결정됐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북한이 싱가포르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한국이 북한에 경비 등을 지원할 수 있나'라는 물음에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나아가 '북미 회담이 판문점이 아닌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면서 남북미 정상회담 개최는 상대적으로 지연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아무래도 (연달아 열릴) 가능성이 좀 작을 것"이라며 "판문점에서 북미 회담을 했다면 남북미 회담까지 자연스럽게 연결이 되지만, 싱가포르에서 북미 회담을 한다면 그 자리에서 남북미 회담을 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답했다.
다음달 8~9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문 대통령이 참석할 수 있느냐는 물음에는 "공식초청은 없었다"면서도 "이것(한반도 비핵화 문제)과 G7이 아주 관계가 없지는 않다. 이전부터 참가문제를 협의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미 회담을 한 이후 G7에 가는 것이 더 자연스럽긴 했겠지만, 가서 남북 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참관 일정에 대해서는 "이달 안에 할 것"이라며 "초청 주체가 북한이니, 북한이 준비해서 통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1일 기자들과 만나 '북미 정상회담 일정이 정해졌는데, 핫라인 통화는 언제 하느냐'는 물음에 "조만간 이뤄질 것"이라고 답했다. 북미 회담은 내달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다. '(핫라인 통화가) 정확히 언제 이뤄지느냐'는 질문에는 "오늘이 금요일 아닌가"라고 반문하면서도 "언제일지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그동안 청와대에서는 "핫라인 통화는 북미 회담 일정 발표 후가 될 수 있다. 김 위원장과 얘기할 소재가 생기는 셈이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북미 회담이 싱가포르에서 개최된다는 사실을 한국 정부가 언제 알았느냐는 질문에는 "어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를 보고서 알았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북미 회담 다음날 6·13 지방선거가 열리는 것과 관련해서는 "날짜와 장소를 정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한 일이다. 지방선거와는 관계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한국 정부는 판문점을 원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아쉽지 않나'라는 물음에는 "분단의 상징으로 판문점의 역사와 맥락을 이해하고 있는 한국 입장에서는 판문점이 더 낫지 않을까 싶었던 것"이라면서도 "북한과 미국이 입장을 정한 것이니 존중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달 28일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통화할 때에도 싱가포르가 유력하게 거론됐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2~3곳이 거론된다고 청와대에서 설명한 바 있는데, 한 곳은 의미가 없는 장소이고, 나머지 2곳이 싱가포르와 판문점이었다"며 싱가포르가 애초부터 유력하게 논의가 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최근 평양이 유력한 후보지로 떠올랐다는 보도도 있었다'라는 물음에는 "(평양 개최 가능성이) 전혀 없지는 않았던 것 같다"며 "계속 상황이 변하다가 애초 유력했던 싱가포르로 최종적으로 결정됐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북한이 싱가포르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한국이 북한에 경비 등을 지원할 수 있나'라는 물음에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나아가 '북미 회담이 판문점이 아닌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면서 남북미 정상회담 개최는 상대적으로 지연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아무래도 (연달아 열릴) 가능성이 좀 작을 것"이라며 "판문점에서 북미 회담을 했다면 남북미 회담까지 자연스럽게 연결이 되지만, 싱가포르에서 북미 회담을 한다면 그 자리에서 남북미 회담을 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답했다.
다음달 8~9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문 대통령이 참석할 수 있느냐는 물음에는 "공식초청은 없었다"면서도 "이것(한반도 비핵화 문제)과 G7이 아주 관계가 없지는 않다. 이전부터 참가문제를 협의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미 회담을 한 이후 G7에 가는 것이 더 자연스럽긴 했겠지만, 가서 남북 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참관 일정에 대해서는 "이달 안에 할 것"이라며 "초청 주체가 북한이니, 북한이 준비해서 통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