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트럼프·김정은, 9월 평양서 '빅 이벤트' 가능성… 종전선언 하나

南·北·美 회담도 '물밑 협상'

'비핵화 마침표' 南·北·美회담 장소 평양 급부상
문 대통령, 남북회담 직후 제안… 트럼프도 "北 갈 수 있다"
비핵화 방법론이 변수… 中·日·러 지지 이끌어내야
< 문 대통령 만난 레드벨벳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1일 청와대에서 ‘남북평화 협력기원 남측예술단’과 오찬을 한 뒤 걸그룹 레드벨벳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 개최 시기와 장소가 확정되면서 다음 단계이자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결정지을 남·북·미 정상회의 시기와 장소에 벌써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북·미 회담 성공을 전제로 문재인 대통령을 포함한 3국 정상이 종전선언과 함께 한반도 평화체제 전환을 선언할 ‘빅 이벤트’ 장소로 평양이 1순위로 급부상하고 있다.

◆남·북·미 정상회의, ‘9월 평양’ 유력11일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북·미 정상회담 장소가 판문점이 아니라 싱가포르로 정해지면서 남·북·미 정상회의는 곧바로 열리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많은 변수가 남아 있지만 문 대통령의 9월 평양 방문이 세 정상이 모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남·북·미 정상회의는 문 대통령의 아이디어다. 문 대통령은 지난 3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이끈 대북특별사절단이 남북한 정상회담을 성사시키고 귀국한 직후 수석·보좌관회의에서 3국 정상회의가 열릴 수 있다고 처음으로 언급했다. 비핵화 협상의 당사자인 미국과 북한을 협상 테이블에 끌어오는 데 그치지 않고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 ‘운전대’를 잡겠다는 의지로 읽혔다.

문 대통령이 남·북·미 정상회의 카드를 공개적으로 꺼내 든 것은 미국, 북한과의 사전 교감을 전제로 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 직후인 지난달 2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남·북·미 정상회의 개최 필요성을 언급했고, 트럼프 대통령도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우선순위는 ‘싱가포르 회담’”이라며 “하지만 그 결과에 따라 남·북·미 정상회의에 대한 관심도 달라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또 “문 대통령의 제안에 (트럼프 대통령이) 관심을 표했다”고 말했다.

북·미 정상회담 장소가 판문점이 아니라 싱가포르로 결정된 것도 9월 평양에서 남·북·미 정상의 회동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당초 판문점에서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경우 곧바로 문 대통령이 합류해 남·북·미 정상회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지만 싱가포르로 장소가 확정되면서 가능성이 희박해졌다. 각 정상의 빠듯한 일정을 감안할 때 7~8월을 넘기고 9월 3국이 만나는 모멘텀을 찾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평양행 의지를 밝힌 것도 9월 평양 회동 전망을 높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북한에서 송환한 미국인 억류자 3명을 직접 맞은 자리에서 “평양에 갈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초청으로 9월 방문할 예정인 평양이 세 정상의 유력 회합 장소로 거론되는 이유다.
◆靑 “아직은 상상력의 영역”

청와대 관계자는 9월께 문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할 때 트럼프 대통령의 동행 가능성과 관련, “요즘은 상상 이상의 일이 벌어지고 있으므로 상황이 좋아지면 그럴 수도 있겠다”라며 즉답을 피했다. 현재 핵시설 폐기와 미국 억류자 송환 등 북의 선제적 조치와 미국의 반응 등으로 북·미 정상회담의 낙관론이 높아지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평양 방문이 현실화하려면 넘어야 할 고비가 많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미 정상회담은 비핵화 협상의 끝이 아니라 시작일 뿐”이라며 “북한의 비핵화 시점 등 방법론을 둘러싼 양측 이견과 유엔 대북제재 문제 등 국제사회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까지 변수가 많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이달 22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과 내달 7~8일 열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등이 북·미 정상회담의 협상 공간을 넓히고, 향후 한반도 비핵화 협상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당사자인 남·북·미 3국 간 물밑 협상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의 동참과 지지도 끌어내야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판문점이 거론되면서 조기에 남·북·미 정상회의가 열릴 것이란 희망도 있었다”며 “세 정상의 일정과 비핵화를 둘러싼 주변국 이해관계 등을 감안할 때 9월 이전에 성사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