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시스템 최대 위험 요인, 보호무역·가계부채"
입력
수정
국내 금융시스템에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가계부채가 꼽혔다. 남북한 정상회담 등으로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우려는 누그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해 13일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 금융시스템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76%)이 꼽혔다. 가계부채 누증이 74%로 그 뒤를 이었다.한은은 지난달 16일부터 27일까지 국내 금융회사 임직원, 각 금융협회·연구소 직원, 대학교수, 해외 금융회사의 한국 투자 담당자 등 72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가계부채 이외에도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60%)가 3위,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50%)이 4위로 나타났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를 위험 요인으로 꼽은 비율은 직전 조사인 지난해 11월에는 26%에 그쳤지만 올 들어 미국과 중국간 무역 갈등이 격화하면서 50%포인트 급등했다. 가계부채에 우려를 나타낸 전문가 비율은 지난해 11월 조사 때 87%에서 13%포인트 쪼그라들었다.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응답률도 15%포인트,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은 6%포인트 각각 축소됐다. 이에 비해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지난해 11월 조사 때 82% 응답률로 주요 리스크에 올랐지만 이번에는 38%로 낮아졌다.1년 이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꼽혔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도 단기에 나타날 수 있는 위험이긴 하지만 발생 가능성은 중간 정도로 평가됐다. 발생했을 때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가계부채 누증,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 등이 꼽혔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한국은행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해 13일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 금융시스템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76%)이 꼽혔다. 가계부채 누증이 74%로 그 뒤를 이었다.한은은 지난달 16일부터 27일까지 국내 금융회사 임직원, 각 금융협회·연구소 직원, 대학교수, 해외 금융회사의 한국 투자 담당자 등 72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가계부채 이외에도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60%)가 3위,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50%)이 4위로 나타났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를 위험 요인으로 꼽은 비율은 직전 조사인 지난해 11월에는 26%에 그쳤지만 올 들어 미국과 중국간 무역 갈등이 격화하면서 50%포인트 급등했다. 가계부채에 우려를 나타낸 전문가 비율은 지난해 11월 조사 때 87%에서 13%포인트 쪼그라들었다.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응답률도 15%포인트,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은 6%포인트 각각 축소됐다. 이에 비해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지난해 11월 조사 때 82% 응답률로 주요 리스크에 올랐지만 이번에는 38%로 낮아졌다.1년 이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꼽혔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도 단기에 나타날 수 있는 위험이긴 하지만 발생 가능성은 중간 정도로 평가됐다. 발생했을 때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가계부채 누증,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 등이 꼽혔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