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68조원까지 치솟은 가계 빚… 고금리 신용대출도 '껑충'

미국 등 주요국의 금리 인상으로 시중금리가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가계 빚이 1460조원대로 늘어났다. 사상 최대 규모다. 정부의 잇따른 가계부채 대책으로 증가율은 주춤해졌지만 여전히 소득 증가율보다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여기에 규제가 강화된 주택담보대출을 피해 고금리 기타대출이 급증하는 ‘풍선효과’도 이어지고 있다. 대출의 질까지 악화하면서 가계 빚이 금융안정을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이다.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18년 1분기 가계신용’을 보면 올 3월 말 가계신용은 1468조원으로 지난해 12월 말(1450조8000억원)보다 17조2000억원 늘었다. 가계신용 잔액은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2년 4분기 이후 최대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각종 금융회사에서 빌린 돈과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합친 통계다. 가계부채를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다.

분기별 가계신용 증가액은 지난해 2분기 28조8000억원, 3분기 31조4000억원, 4분기 31조6000억원에서 올 1분기 들어 축소됐다. 1분기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16조6000억원)보다 많지만 2016년(20조6000억원)보다는 적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올 1분기 8.0%로 집계됐다. 2015년 1분기(7.4%) 이후 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내려갔다.하지만 전문가들은 정부의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소득보다 가계신용 증가율이 가팔라 가계 부담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분기별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2015∼2017년 3∼5%대에 그치고 있다. 급격한 가계부채 증가는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모두에 부담이다. 특히 지금처럼 금리 인상기에는 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이자 상환 부담이 늘고, 이는 민간소비 위축, 가계부채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가중평균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올 1분기 연 3.68%로, 2014년 3분기(3.82%)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상태다.

이주열 한은 총재 역시 지난달 “가계 부채 총량 수준이 높고 증가세가 둔화한다고 해도 여전히 소득증가율을 웃돌고 있다”며 “당장 리스크는 아니더라도 중기적으로 봤을 때 금융 안정을 저해할 수 있는 잠재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 한은 관계자는 “가계부채 관리대책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지만 올해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이 많은 점이 가계대출을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부문별로 보면, 가계대출은 올 1분기 말 기준 1387조원으로 집계됐다. 석 달 새 16조9000억원 늘었다. 예금은행 가계대출(668조9000억원)이 8조2000억원 늘었다. 상호금융,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은 7000억원 증가한 314조6000억원을 나타냈다. 보험과 연금기금, 카드사 등 기타금융회사 가계대출(403조5000억원)은 8조원 늘었다.판매신용은 81조원으로 3000억원 늘었다. 예금취급기관 주택담보대출은 582조4000억원으로 4조1000억원 늘었다. 2015년 2분기(-3조원) 이후 최소다. 주택담보대출 중심의 각종 규제 정책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담보대출의 문턱을 넘지 못한 가계의 자금수요가 이동하면서 기타대출 잔액이 401조원으로 처음으로 400조원을 넘어섰다. 전 분기보다 4조9000억원 늘었다. 기타대출은 주택담보대출보다 이자가 높은 데다 담보가 없어 상대적으로 부실 위험이 큰 편이다. 한은 관계자는 “기타대출 증가세가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보다 높은 건 사실이지만 고신용자 중심으로 신용대출이 늘고 있어 리스크 요인으로 보긴 어렵다’며 “올 3월부터 새로운 대출 규제 정책이 도입돼 기타대출 증가세도 둔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