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북미회담 성사 가능성 반색… 북미 간 직접 대화 예의주시
입력
수정
트럼프·김정은 소통 기류에 긍정적 해석…"북미가 조율할 문제"
트럼프 "필요시 북미회담 연장" 발언에도 '신중 또 신중'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북미 간 대화가 진행 중임을 소개하며 6·12 북미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거듭 언급하자 청와대는 반색하는 분위기다.'벼랑 끝 전술'에 가까운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압박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비핵화 및 한반도 평화' 구상에 잠시 빨간 불이 켜졌으나, 북미정상회담이 개최 가능한 쪽으로 다시 급선회하면서 문 대통령의 구상 역시 '정상 모드'로 돌아오리라는 기대감이 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북미정상회담 개최 가능성과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그들(북한)은 그것(북미정상회담)을 무척 원하고 우리도 그것을 하고 싶다"면서 "심지어 (6월) 12일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정상회담을 되살리는 것에 관해 북한과 매우 생산적인 대화를 하고 있다"며 북미정상회담을 한다면 다음 달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이에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6일 기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북미 대화의 불씨가 꺼지지 않고 다시 살아나고 있어 다행스럽게 여기고 있다"고 밝혔다.
4·27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이 6·12 북미정상회담으로 이어져 한반도 비핵화 해법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했던 청와대로서는 다시금 회담 성사 가능성이 커진 것을 높이 평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4일 북미정상회담을 취소하겠다고 했을 때만 해도 청와대는 적잖은 우려를 나타냈다.어렵게 마련된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가라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청와대는 '전체 판은 깨지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와 판단을 이어갔다.
청와대가 특히 주목하는 부분은 수단에 있어서는 간접적이지만 내용상으로 북미 정상이 직접 소통하고 있다는 점이다.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 취소를 공식화한 24일 밤늦게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들을 소집해 "북미 정상 간 보다 직접적이고 긴밀한 대화로 해결해 나가기를 기대한다"는 메시지를 내놨다.
비핵화 방법론을 둘러싼 실무 협상 과정에서의 이견, 북미 간 불신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하위 단계'에서의 갈등이 불거진 만큼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소통해 '6·12 북미정상회담 개최' 결정을 유지해 달라는 당부로 해석됐다.
실제 북미정상회담 전격 취소를 알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에 북한은 김 위원장의 뜻이 반영된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의 '위임 담화'로 북미정상회담 개최 의지를 밝혔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언급했다.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두 정상 간 소통과 대화가 시작된 모양새다.
청와대의 당초 판단대로 북미 정상 모두 '전체 판을 깨지는 않겠다'는 의사를 확인한 것이기도 하다.
이를 두고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계관 제1부상의 담화는 사실상 김 위원장의 뜻으로 봐야 할 것"이라며 "북미 정상이 북미회담을 열어야 한다는 마음에 변화 없이 대화를 하는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격적인 입장 선회로 일단 시름을 덜었지만 가급적 말을 아끼고 있다.
김의겸 대변인은 "(향후 북미대화의) 추이를 조심스럽게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이 북미 정상 간 '직접 소통'을 요청하기는 했지만, 북미정상회담 개최 자체는 전적으로 북미가 조율, 결정할 문제인 만큼 기다리겠다는 것이다.
북미 양측에 보내는 신뢰의 표시로도 읽힌다.
청와대가 남북 정상 간 핫라인 통화 가능성을 두고 '현재는 계획이 없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의 성사 가능성을 언급하며 또 다른 '빅 이벤트'라고 할 수 있는 남북미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시사한 데 대해서도 절제된 반응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서 "필요하다면 (회담이) 그날(6월 12일)을 넘겨 연장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놓고 6월 12일 당일치기로 예상된 북미정상회담이 하루 이틀 연장되면서 북미정상회담에 이어 곧바로 남북미 정상회담이 열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실제 그렇게 될지는) 전혀 알 수 없다"면서 "북한, 미국과 협의해야 하는 사안이라 언급할 수 없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상황에서 조그마한 변수도 북미정상회담, 나아가 한반도 관련 논의에 큰 여파를 몰고 올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에 신중을 거듭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 정부와 청와대는 북미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해 소리 없는 물밑 지원노력을 진행 중이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전날 NSC 상임위 결과 브리핑에서 "북미 정상 간 직접 소통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다양한 채널을 가동, 북미 양측의 견해차를 좁히는 데 공을 들일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트럼프 "필요시 북미회담 연장" 발언에도 '신중 또 신중'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북미 간 대화가 진행 중임을 소개하며 6·12 북미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거듭 언급하자 청와대는 반색하는 분위기다.'벼랑 끝 전술'에 가까운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압박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비핵화 및 한반도 평화' 구상에 잠시 빨간 불이 켜졌으나, 북미정상회담이 개최 가능한 쪽으로 다시 급선회하면서 문 대통령의 구상 역시 '정상 모드'로 돌아오리라는 기대감이 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북미정상회담 개최 가능성과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그들(북한)은 그것(북미정상회담)을 무척 원하고 우리도 그것을 하고 싶다"면서 "심지어 (6월) 12일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정상회담을 되살리는 것에 관해 북한과 매우 생산적인 대화를 하고 있다"며 북미정상회담을 한다면 다음 달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이에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6일 기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북미 대화의 불씨가 꺼지지 않고 다시 살아나고 있어 다행스럽게 여기고 있다"고 밝혔다.
4·27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이 6·12 북미정상회담으로 이어져 한반도 비핵화 해법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했던 청와대로서는 다시금 회담 성사 가능성이 커진 것을 높이 평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4일 북미정상회담을 취소하겠다고 했을 때만 해도 청와대는 적잖은 우려를 나타냈다.어렵게 마련된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가라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청와대는 '전체 판은 깨지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와 판단을 이어갔다.
청와대가 특히 주목하는 부분은 수단에 있어서는 간접적이지만 내용상으로 북미 정상이 직접 소통하고 있다는 점이다.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 취소를 공식화한 24일 밤늦게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들을 소집해 "북미 정상 간 보다 직접적이고 긴밀한 대화로 해결해 나가기를 기대한다"는 메시지를 내놨다.
비핵화 방법론을 둘러싼 실무 협상 과정에서의 이견, 북미 간 불신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하위 단계'에서의 갈등이 불거진 만큼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소통해 '6·12 북미정상회담 개최' 결정을 유지해 달라는 당부로 해석됐다.
실제 북미정상회담 전격 취소를 알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에 북한은 김 위원장의 뜻이 반영된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의 '위임 담화'로 북미정상회담 개최 의지를 밝혔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언급했다.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두 정상 간 소통과 대화가 시작된 모양새다.
청와대의 당초 판단대로 북미 정상 모두 '전체 판을 깨지는 않겠다'는 의사를 확인한 것이기도 하다.
이를 두고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계관 제1부상의 담화는 사실상 김 위원장의 뜻으로 봐야 할 것"이라며 "북미 정상이 북미회담을 열어야 한다는 마음에 변화 없이 대화를 하는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격적인 입장 선회로 일단 시름을 덜었지만 가급적 말을 아끼고 있다.
김의겸 대변인은 "(향후 북미대화의) 추이를 조심스럽게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이 북미 정상 간 '직접 소통'을 요청하기는 했지만, 북미정상회담 개최 자체는 전적으로 북미가 조율, 결정할 문제인 만큼 기다리겠다는 것이다.
북미 양측에 보내는 신뢰의 표시로도 읽힌다.
청와대가 남북 정상 간 핫라인 통화 가능성을 두고 '현재는 계획이 없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의 성사 가능성을 언급하며 또 다른 '빅 이벤트'라고 할 수 있는 남북미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시사한 데 대해서도 절제된 반응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서 "필요하다면 (회담이) 그날(6월 12일)을 넘겨 연장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놓고 6월 12일 당일치기로 예상된 북미정상회담이 하루 이틀 연장되면서 북미정상회담에 이어 곧바로 남북미 정상회담이 열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실제 그렇게 될지는) 전혀 알 수 없다"면서 "북한, 미국과 협의해야 하는 사안이라 언급할 수 없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상황에서 조그마한 변수도 북미정상회담, 나아가 한반도 관련 논의에 큰 여파를 몰고 올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에 신중을 거듭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 정부와 청와대는 북미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해 소리 없는 물밑 지원노력을 진행 중이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전날 NSC 상임위 결과 브리핑에서 "북미 정상 간 직접 소통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다양한 채널을 가동, 북미 양측의 견해차를 좁히는 데 공을 들일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