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전격 성사, 文-金 무슨 대화 나눴나?
입력
수정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6일 전격적으로 두 번째 정상회담을 하면서 두 정상이 무슨 얘기를 나눴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이날 회담은 청와대 내부에서도 아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극비리에 이뤄졌다. 4·27 정상회담 이후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판문점에서 다시 만난 것 자체만으로도 궁금증을 자아낸다.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도 이날 회담 개최 소식을 알리면서 “양 정상이 4·27 판문점선언의 이행과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첫 손으로 꼽히는 의제는 역시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다. 북미 실무라인 접촉으로 순조롭게 개최될 것으로 보였던 북미정상회담은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과 최선희 외무성 부상의 미국 비판 담화에 따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회담 취소 선언으로 성사 여부가 미궁 속에 빠져드는 듯했다. 하지만 북한이 김정은의 뜻을 반영해 정상회담 성사를 바란다는 취지의 김 제1부상 담화를 발표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화답하면서 회담은 다시 성사되는 쪽으로 분위기가 잡혀가는 흐름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본궤도에서 이탈하는 것처럼 보였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 취소를 공식화한 24일 밤늦게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들을 소집해 “북미 정상 간 보다 직접적이고 긴밀한 대화로 해결해 나가기를 기대한다”며 정상회담 성사 의지를 강조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문 대통령은 김정은의 이번 두 번째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이후 평화체제 구축과 같은 문제를 원활하게 논의하는 과정에서 북미정상회담이 가지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회담 성사에 힘써 달라고 당부했을 공산이 크다.최근 며칠 새 북미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한 혼란이 한 번 더 재연된다면 다시 북미 정상을 같은 테이블에 마주 앉게 하기는 그만큼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트럼프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이행되면 체제안전을 보장하겠다고 한 만큼, 이를 포함한 한미정상회담의 주요 논의결과를 김 위원장에게 설명하고 향후 북미정상회담에 신뢰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임하라고 이야기를 했을 가능성 역시 있다.
북미정상회담이 열린다면 핵심 의제는 비핵화의 구체적 방법론이다.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의 중대 변수인 비핵화 방법론을 놓고 북미 사이의 견해차를 줄이는 데에도 집중했을지 주목된다. ‘단계적·동시적 해법’을 선호하는 북한과 ‘속전속결의 일괄타결 해법’을 지향하는 미국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것이야말로 북미정상회담 성공의 최대 관건이라는 점에서다.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언제든지 한미정상 통화 등으로 의견을 나눌 수 있다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김정은 역시 북한의 입장을 있는 그대로 문 대통령에게 밝혔을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린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이 4·27 판문점선언의 이행과 관련한 의견을 나눴다는 것도 눈길이 가는 지점이다. 남북은 애초 판문점선언 이행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남북고위급회담을 16일에 열기로 했다. 그러나 북한이 한미 공중연합훈련인 맥스선더 훈련 등을 문제 삼으며 이 회담은 현재까지 열리지 않고 있다.
문 대통령이 27일 기자들 앞에 직접 서서 이날의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겠다고 한 것이 회담 성과가 적지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남북 고위급회담 개최를 비롯한 판문점선언 세부합의 이행을 가속하는 발표가 나올지 주목된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이날 회담은 청와대 내부에서도 아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극비리에 이뤄졌다. 4·27 정상회담 이후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판문점에서 다시 만난 것 자체만으로도 궁금증을 자아낸다.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도 이날 회담 개최 소식을 알리면서 “양 정상이 4·27 판문점선언의 이행과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첫 손으로 꼽히는 의제는 역시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다. 북미 실무라인 접촉으로 순조롭게 개최될 것으로 보였던 북미정상회담은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과 최선희 외무성 부상의 미국 비판 담화에 따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회담 취소 선언으로 성사 여부가 미궁 속에 빠져드는 듯했다. 하지만 북한이 김정은의 뜻을 반영해 정상회담 성사를 바란다는 취지의 김 제1부상 담화를 발표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화답하면서 회담은 다시 성사되는 쪽으로 분위기가 잡혀가는 흐름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본궤도에서 이탈하는 것처럼 보였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 취소를 공식화한 24일 밤늦게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들을 소집해 “북미 정상 간 보다 직접적이고 긴밀한 대화로 해결해 나가기를 기대한다”며 정상회담 성사 의지를 강조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문 대통령은 김정은의 이번 두 번째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이후 평화체제 구축과 같은 문제를 원활하게 논의하는 과정에서 북미정상회담이 가지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회담 성사에 힘써 달라고 당부했을 공산이 크다.최근 며칠 새 북미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한 혼란이 한 번 더 재연된다면 다시 북미 정상을 같은 테이블에 마주 앉게 하기는 그만큼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트럼프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이행되면 체제안전을 보장하겠다고 한 만큼, 이를 포함한 한미정상회담의 주요 논의결과를 김 위원장에게 설명하고 향후 북미정상회담에 신뢰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임하라고 이야기를 했을 가능성 역시 있다.
북미정상회담이 열린다면 핵심 의제는 비핵화의 구체적 방법론이다.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의 중대 변수인 비핵화 방법론을 놓고 북미 사이의 견해차를 줄이는 데에도 집중했을지 주목된다. ‘단계적·동시적 해법’을 선호하는 북한과 ‘속전속결의 일괄타결 해법’을 지향하는 미국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것이야말로 북미정상회담 성공의 최대 관건이라는 점에서다.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언제든지 한미정상 통화 등으로 의견을 나눌 수 있다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김정은 역시 북한의 입장을 있는 그대로 문 대통령에게 밝혔을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린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이 4·27 판문점선언의 이행과 관련한 의견을 나눴다는 것도 눈길이 가는 지점이다. 남북은 애초 판문점선언 이행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남북고위급회담을 16일에 열기로 했다. 그러나 북한이 한미 공중연합훈련인 맥스선더 훈련 등을 문제 삼으며 이 회담은 현재까지 열리지 않고 있다.
문 대통령이 27일 기자들 앞에 직접 서서 이날의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겠다고 한 것이 회담 성과가 적지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남북 고위급회담 개최를 비롯한 판문점선언 세부합의 이행을 가속하는 발표가 나올지 주목된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