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구당 월평균 소비 255만7천원… 교통비 비중 가장 커
입력
수정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발표…1인 가구는 월 137만3천원 지출
작년 한국의 가구는 한 달 평균 255만원을 소비 목적으로 쓴 것으로 나타났다.교통비 지출 비중이 가장 컸다.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7년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결과'를 보면 작년 전국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55만7천원이었다.
지출항목별 비중을 보면 교통(14.4%), 식료품·비주류 음료(14.1%), 음식·숙박(13.9%), 주거·수도·광열(11.1%) 순으로 높았다.최근 급증하는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37만3천원, 2인 이상 가구는 302만8천원이었다.
조사 대상 중 도시근로자가구를 따로 보면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원으로 전체 평균보다 다소 높았다.
하지만 지출 비중은 역시 교통(15.1%)에서 가장 컸다.이어 음식·숙박(14.7%), 식료품·비주류 음료(12.5%), 주거·수도·광열(10.4%) 순이었다,
도시근로자 중 1인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은 161만6천원, 2인 이상 가구는 334만2천원이었다.
전국 가구의 주요 소비지출 항목별 지출액을 보면 교통비 지출(36만9천원)은 자동차구입(44.5%), 운송기구연료비(28.0%), 기타운송(8.1%) 순으로 많았다.
교통비 지출 비중을 가구주 연령대별로 보니 60대 이상에서 가장 낮았고, 30대 이하에서 가장 높았다.주거·수도·광열비(28만3천원)는 실제주거비(37.0%), 연료비(30.1%), 기타 주거서비스(17.0%)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입주형태별로 봤을 때 자가, 전세 가구에서는 연료비 지출 비중이 가장 높았고, 월세 및 기타 가구에서는 월세와 같은 실제주거비 지출 비중이 가장 컸다.
13만8천원에 달한 통신비 지출은 이동통신서비스(76.6%)가 대부분이었다.
가구주 나이별로 보면 50대가 통신비 지출 비중이 높았고, 60대 이상은 가장 낮았다.
통계청은 작년 2월 발표한 '2016년 연간 가계동향'에서 2016년 소비지출을 255만원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번 발표와 7천원 차이로 큰 변화가 없었지만, 통계청은 조사 방법과 표본이 달라 두 해의 소비지출 변화를 직접 비교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전 통계는 가계부만을 통해 약 8천700가구를 36개월간 조사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과거 제외했던 농어가를 추가하고 표본 규모를 1만2천 가구(월별 1천 가구씩 12개월 순환)로 넓혔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개편으로 2016년과 2017년을 기점으로 향후 자료는 과거 자료와 비교할 수 없는 '통계 단층'이 생겼다.김정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모집단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가계동향조사를 개편한 것으로, 시계열과 관련해서는 우리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이번 자료를 기초로 시계열 연장이 가능한지 연구·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작년 한국의 가구는 한 달 평균 255만원을 소비 목적으로 쓴 것으로 나타났다.교통비 지출 비중이 가장 컸다.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7년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결과'를 보면 작년 전국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55만7천원이었다.
지출항목별 비중을 보면 교통(14.4%), 식료품·비주류 음료(14.1%), 음식·숙박(13.9%), 주거·수도·광열(11.1%) 순으로 높았다.최근 급증하는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37만3천원, 2인 이상 가구는 302만8천원이었다.
조사 대상 중 도시근로자가구를 따로 보면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원으로 전체 평균보다 다소 높았다.
하지만 지출 비중은 역시 교통(15.1%)에서 가장 컸다.이어 음식·숙박(14.7%), 식료품·비주류 음료(12.5%), 주거·수도·광열(10.4%) 순이었다,
도시근로자 중 1인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은 161만6천원, 2인 이상 가구는 334만2천원이었다.
전국 가구의 주요 소비지출 항목별 지출액을 보면 교통비 지출(36만9천원)은 자동차구입(44.5%), 운송기구연료비(28.0%), 기타운송(8.1%) 순으로 많았다.
교통비 지출 비중을 가구주 연령대별로 보니 60대 이상에서 가장 낮았고, 30대 이하에서 가장 높았다.주거·수도·광열비(28만3천원)는 실제주거비(37.0%), 연료비(30.1%), 기타 주거서비스(17.0%)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입주형태별로 봤을 때 자가, 전세 가구에서는 연료비 지출 비중이 가장 높았고, 월세 및 기타 가구에서는 월세와 같은 실제주거비 지출 비중이 가장 컸다.
13만8천원에 달한 통신비 지출은 이동통신서비스(76.6%)가 대부분이었다.
가구주 나이별로 보면 50대가 통신비 지출 비중이 높았고, 60대 이상은 가장 낮았다.
통계청은 작년 2월 발표한 '2016년 연간 가계동향'에서 2016년 소비지출을 255만원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번 발표와 7천원 차이로 큰 변화가 없었지만, 통계청은 조사 방법과 표본이 달라 두 해의 소비지출 변화를 직접 비교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전 통계는 가계부만을 통해 약 8천700가구를 36개월간 조사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과거 제외했던 농어가를 추가하고 표본 규모를 1만2천 가구(월별 1천 가구씩 12개월 순환)로 넓혔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개편으로 2016년과 2017년을 기점으로 향후 자료는 과거 자료와 비교할 수 없는 '통계 단층'이 생겼다.김정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모집단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가계동향조사를 개편한 것으로, 시계열과 관련해서는 우리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이번 자료를 기초로 시계열 연장이 가능한지 연구·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