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용률 '극과 극'…초고령층은 OECD 1위, 청년은 하위권
입력
수정
한국의 고용률이 연령층에 따라 극명하게 대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 고령층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상위지만 청년은 하위권이다.
2일 OECD에 따르면 75세 이상 고용률은 2016년 기준 한국이 18.1%로 OECD 비교 가능한 16개국 중 1위였다.2위인 멕시코(15.3%)보다도 2.8%포인트 높았다. 한국과 멕시코를 제외하면 나머지 국가들의 75세 이상 고용률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
3위인 일본이 8.7%였고 최하위인 스페인은 0.2%에 그쳤다. 프랑스(0.4%), 네덜란드(2.0%), 영국(3.0%), 캐나다(3.5%) 등 주요 선진국은 4% 미만이었다.
한국이 75세 이상 고용률 최상위를 차지한 것은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 한국은 2012년부터 5년 연속으로 75세 이상 고용률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75세 이상 고용률은 2012년 17.3%에서 2014년 19.2%까지 치솟았다가 소폭 하락했다. 연령을 낮춰 65세 이상 기준으로 봐도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다. 2016년 한국의 65세 이상 고용률은 30.7%로 OECD 회원국 35개국 가운데 아이슬란드(40.4%)에 이어 2위였다. 한국은 OECD 평균(14.1%)보다 16.6%포인트나 높았다.
그러나 연령대를 청년으로 낮추면 상황은 반전된다. OECD 청년 기준인 15∼24세 고용률은 2016년 한국이 27.2%로 35개국 가운데 28위였다.
OECD 평균인 41.1%보다 13.9%포인트 낮았다. 2015년엔 26.9%로 27위, 2014년엔 25.8%로 공동 26위로 하위권을 맴돌고 있다.25∼29세를 대상으로 봐도 2016년 한국의 고용률은 69.6%로 29위에 머물렀다. OECD 평균(73.7%)에도 역시 미달했다. 공동 1위인 아이슬란드와 룩셈부르크(87.3%)보다 20%포인트 가까이 낮았다.
고용률 극과 극이 빚어진 것은 고령층은 주된 일자리에서 은퇴하고도 계속 일해야 할 정도로 국내 연금 제도가 성숙하지 못해서다.
정규직, 비정규직 격차가 심하고 청년들이 일단 첫 일자리를 비정규직, 저임금으로 잡은 후 정규직, 고임금 일자리로 넘어갈 수 있는 '일자리 상승 사다리'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탓도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2일 OECD에 따르면 75세 이상 고용률은 2016년 기준 한국이 18.1%로 OECD 비교 가능한 16개국 중 1위였다.2위인 멕시코(15.3%)보다도 2.8%포인트 높았다. 한국과 멕시코를 제외하면 나머지 국가들의 75세 이상 고용률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
3위인 일본이 8.7%였고 최하위인 스페인은 0.2%에 그쳤다. 프랑스(0.4%), 네덜란드(2.0%), 영국(3.0%), 캐나다(3.5%) 등 주요 선진국은 4% 미만이었다.
한국이 75세 이상 고용률 최상위를 차지한 것은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 한국은 2012년부터 5년 연속으로 75세 이상 고용률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75세 이상 고용률은 2012년 17.3%에서 2014년 19.2%까지 치솟았다가 소폭 하락했다. 연령을 낮춰 65세 이상 기준으로 봐도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다. 2016년 한국의 65세 이상 고용률은 30.7%로 OECD 회원국 35개국 가운데 아이슬란드(40.4%)에 이어 2위였다. 한국은 OECD 평균(14.1%)보다 16.6%포인트나 높았다.
그러나 연령대를 청년으로 낮추면 상황은 반전된다. OECD 청년 기준인 15∼24세 고용률은 2016년 한국이 27.2%로 35개국 가운데 28위였다.
OECD 평균인 41.1%보다 13.9%포인트 낮았다. 2015년엔 26.9%로 27위, 2014년엔 25.8%로 공동 26위로 하위권을 맴돌고 있다.25∼29세를 대상으로 봐도 2016년 한국의 고용률은 69.6%로 29위에 머물렀다. OECD 평균(73.7%)에도 역시 미달했다. 공동 1위인 아이슬란드와 룩셈부르크(87.3%)보다 20%포인트 가까이 낮았다.
고용률 극과 극이 빚어진 것은 고령층은 주된 일자리에서 은퇴하고도 계속 일해야 할 정도로 국내 연금 제도가 성숙하지 못해서다.
정규직, 비정규직 격차가 심하고 청년들이 일단 첫 일자리를 비정규직, 저임금으로 잡은 후 정규직, 고임금 일자리로 넘어갈 수 있는 '일자리 상승 사다리'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탓도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