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수의 시사토크] '근로자外 가구' 늘어난 이유 뭔가
입력
수정
지면A34
문희수 경제교육연구소장올 1분기 가계소득 해석을 놓고 논쟁이 그치지 않는다. 지난 3일 청와대의 해명이 되레 논란을 키웠다. 가구가 아니라 가구원 개인별 근로소득에 대해 따로 통계를 만들었더니 하위 소득계층 10%를 제외한 90%의 소득이 늘었고, 전체 가구가 아니라 일하는 근로자가 가구주인 근로자 가구의 소득 역시 전 계층에서 증가했다는 게 청와대 설명이다.
공식 통계인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결과와는 사뭇 다른 분석이다.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한 통계청 조사에선 고소득 계층은 소득이 증가한 반면 저소득 계층은 소득이 감소했다. 특히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계층(하위 20%)의 소득이 역대 최대로 줄어 소득 불균형이 오히려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엔 충격이다. 최저임금이 파격적으로 인상된 1분기여서 더 민감하다. 이런 와중에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적인 효과가 90%”라는 대통령의 발언까지 나왔던 터다. 청와대가 직접 해명에 나서게 된 배경이다.통계에서 빠진 41%가 핵심
이로써 대통령의 발언 근거는 소명됐지만 이번에는 통계의 편향성 문제가 불거졌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을 포함한 무직자, 영업에 큰 지장을 받는 영세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이 가구주인 ‘근로자 외 가구’를 빼고 일자리가 있어 돈을 버는 ‘근로자 가구’의 소득 통계만 가공해 분석을 내놨기 때문이다.
근로자 외 가구는 올 1분기에 전체 가구의 41.3%나 된다. 지난해 4분기 37.4%에서 급증했다. 2008년 1분기(42.1%) 후 10년 만의 최대치다. 더구나 이들 가구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가장 직접적으로 큰 피해를 보는 계층이다. 비임금 근로자 수도 전체 근로자의 25%나 된다. 경제학 교과서에 나오는 대로 숙련 근로자보다 미숙련 근로자, 경력이 짧은 저연령 근로자일수록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피해가 크며, 실직할 위험성도 커진다.그렇기 때문에 근로자 외 가구 증가는 최저임금 인상 영향을 평가할 때 핵심이 돼야 한다. 청와대 통계에서도 이들 가구 중 1~3분위 계층의 소득은 줄었다. 게다가 이는 최대 이슈인 청년 실업 문제와도 무관하지 않다. 그런데도 이번 통계에선 이들 가구가 왜 증가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는 것은 물론 아예 빼 버렸다. 영세 자영업, 청년실업 등에 미치는 영향은 그림자도 안 보인다. 돈 못 버는 41%는 빼고 돈 버는 59%만의 소득통계를 가공해 “효과가 90%”라고 하니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위험한 자의적 통계 가공
자의적인 통계 가공과 해석은 실상을 왜곡하기 쉽다. 이번 통계처럼 기준을 가구에서 개인으로 바꿀 때 역시 그 분석은 제한적이어야 한다. 예컨대 4인 가구가 집 한 채를 갖고 있더라도 그 집의 소유자는 대개 가장 한 명이기 마련이다. 이를 놓고 전 국민의 25%만이 주택 소유자, 바꿔 말해 전 국민의 75%는 무주택자라고 말할 수는 없다. 주택 소유자만 갖고 주택 소유 비율이 100%라고 주장하지 못하는 것도 당연하다.정부는 가장 많은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이른바 정보의 비대칭이다. 지금 정부가 지향하는 큰 정부로 갈수록 정보의 비대칭이 심각해질 우려가 있다. 하고 싶은 말을 하기 위해 공식 통계 대신 내부 참고자료 정도로나 쓸 자의적 가공 통계를 앞세운다면 안 될 말이다. 좋아진 것만 끄집어내 보기 좋은 통계를 만든다고 해서 해결되는 것은 없다. 정치는 특정 지지계층이 대상이라지만 국정은 전 국민이 대상이다. 진지한 국정이어야 한다.
m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