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해법 '카자흐 모델' 부상… 北은 핵반출, 美는 폐기비용 지원
입력
수정
지면A8
美·北 정상회담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2일 열리는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른바 ‘카자흐스탄식 비핵화 모델’을 보고받았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모델은 1991년 옛 소련 붕괴 당시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등에 남아 있던 핵무기를 폐기한 프로그램이다. 당시 샘 넌 전 상원의원과 리처드 루가 전 상원의원이 주도해 ‘넌-루가 프로그램’으로도 불린다.
옛 소련 붕괴 당시 핵폐기 모델
블룸버그 "트럼프 보고받아"
핵기술 제3국 유출 방지 위해
과학자들 전직·재취업 지원도
北 '리비아 모델'에 거부감
美 의회 동의가 최대 변수
블룸버그통신은 두 의원이 전날 트럼프 대통령에게 당시 입법 활동과 교훈을 보고했으며 그 자리에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배석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북핵 해법으로 카자흐스탄 모델이 적용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6/AA.16901929.1.jpg)
카자흐스탄 모델의 핵심은 핵무기의 외부 반출이다. 카자흐스탄은 1992~1995년 핵무기 1000여 기와 전략 폭격기 등을 러시아로 내보냈다. 이 모델은 핵 전문가의 전직과 재취업도 포함하고 있다. 핵 기술이 제3국이나 테러단체로 유출되는 걸 막기 위한 조치다.
서방국가들은 핵을 포기한 카자흐스탄 등에 체제 보장과 경제 지원을 약속했다. 미국도 ‘넌-루가 프로그램’에 따라 직접 지원에 동참했다. 미국이 지원한 금액은 4년간 16억달러가량으로 알려졌다.카자흐스탄 모델은 결과적으로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프로그램에 따라 러시아를 제외한 옛 소비에트연방 국가가 모두 비핵화됐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537기와 ICBM 격납고 459개, 폭격기 128대, 공대지 핵미사일 708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496기, 핵잠수함 27척, 핵실험 터널 194곳이 폐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옛 소련의 핵 전문가를 통한 핵기술 유출도 거의 없었다.
◆미 의회 동의와 북한 진의가 변수
카자흐스탄 모델이 거론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11일 백악관을 방문해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났을 때 북핵 해법과 관련해 “리비아뿐만 아니라 카자흐스탄 방식 등 여러 방식이 있다”고 말했다.선(先)핵폐기-후(後)보상 방식으로 미국 강경파가 선호하는 ‘리비아 모델’에 북한이 극도로 거부감을 보이는 점도 카자흐스탄 모델이 주목받는 배경이다. 리비아는 2004년 미국에 핵무기와 핵문서를 넘긴 뒤 2006년 미국과 국교를 정상화했지만 2011년 내전이 발생했고 카다피 대통령은 반군에 의해 처형됐다.
미국도 카자흐스탄 모델을 수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넌 전 의원과 루가 전 의원은 지난 4월23일 워싱턴포스트(WP) 기고에서 “미국과 동맹국이 소련 붕괴 이후 1990년대 초를 되돌아봄으로써 배울 수 있는 중요한 교훈이 있다”고 강조했다. 2008년 2월에는 루가 전 의원의 보좌관과 저명한 핵물리학자인 지그프리드 헤커 박사가 북한을 방문해 이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기도 했다.
문제는 미 의회가 카자흐스탄 모델에 선뜻 동의해줄 거냐다. 이 모델은 미국 돈이 들어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미국은 1994년 북한과 제네바 합의 때도 북한 핵시설 폐기에 드는 비용을 한국 등 주변국에 거의 떠넘겼다.북한이 진짜 핵을 폐기할 의지가 있느냐도 걸림돌이다. 카자흐스탄 등 옛 소비에트연방국은 소련 해체로 원치 않게 핵보유국이 됐다. 때문에 체제 보장과 경제 지원을 대가로 한 비핵화에 적극 협력했다. 반면 북한은 내부적으론 ‘고난의 행군’, 외부적으론 미국은 물론 혈맹인 중국의 반대를 무릅쓰고 수십 년간 핵을 개발했고 헌법에도 핵보유국 지위를 명시했다.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공사는 저서 《3층 서기실의 암호》에서 ‘북한이 인도나 파키스탄처럼 핵보유국이 되려고 한다’고 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