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루치 "핵폐기 검증 합의를"… 조셉 윤 "핵무기 배치 장소 알아내야"
입력
수정
지면A4
북핵 문제 다뤄본 美 전·현직 관료들, 트럼프 행정부에 조언
"애매모호하면 북한이 이용할 것
모든 것을 문서로 남겨야"
1994년 미·북 제네바 합의 때 미국 측 협상 대표였던 로버트 갈루치 전 국무부 북핵특사(왼쪽 사진)는 “검증을 미루면 반드시 문제가 생긴다”며 “(미국이 원하는) 감시와 검증의 의미에 대해 (북한과) 합의해야 한다”고 말했다.조셉 윤 전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오른쪽 사진)는 “(트럼프 대통령이) 첫 번째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즉각적이고 구체적인 조치를 요구해야 한다”며 “중요한 것은 북한이 핵무기와 핵물질을 배치한 장소를 공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제네바 합의와 (2000년대 초) 6자회담이 실패한 건 북한이 그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과거 북한과의 협상에서) 우리가 얻은 중요한 교훈은 모든 것을 문서로 구체화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조지프 디 티라니 전 6자회담 특사도 “(6월12일) 미·북 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핵무기 숫자와 위치, 핵물질을 둔 장소, 핵 프로그램에 참여한 전문가 명단을 (미국에) 제공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로버트 아인혼 전 국무부 차관보는 “모호한 부분이 있다면 북한은 이를 활용하려 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2012년 2월29일 이뤄진) 이른바 ‘윤달합의’ 때 미국은 장거리 미사일 시험금지 대상에 우주 로켓 발사도 포함한다고 했지만 북한은 이런 해석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북한은 한 달 뒤 우주 로켓을 발사했고 (미·북 간) 합의는 깨졌다”고 회고했다.크리스 힐 전 국무부 동아태차관보(전 6자회담 수석대표)도 “양국이 합의한 사항에 모호한 부분이 없어야 한다”며 “북한에 틈을 줘선 안 된다”고 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