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봉준의 해외 주식투자 따라잡기] (6) 이번주 FOMC 통화정책 기조 확인할 필요 있다

카카오톡에서 ‘WOW스타P2P’를 친구 추가하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유로존의 정쟁 리스크로 출렁이던 글로벌 증시가 점차 안정을 되찾고 있다. 미국 증시는 무역분쟁 확산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면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전 고점을 재차 갱신하고 있고, 연일 급등하던 국제 유가도 배럴당 65달러 수준에서 가격조정을 거치고 있어 물가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이 아직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터키,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 통화가치가 급락한 것은 미국 금리 인상으로 인한 달러화 강세로 급격한 자본유출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과거 미국 중앙은행(Fed)이 내세운 통화정책의 기조적인 변화로 신흥국 증시가 유탄을 맞았던 이른바 ‘긴축 발작(taper tantrum)’의 데자뷔인 것이다. 이런 신흥국의 위기에도 불구하고, Fed는 18년 만에 실업률이 3%대로 안정되고 고용지표가 개선되는 경기회복 국면이 뚜렷하기 때문에 통화정책의 시의성을 볼 때 시장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라도 연초 로드맵에 따라 점진적인 금리 인상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우리 증시가 여타 신흥증시 대비 외환보유액이나 재무건전성에 당장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미 금리 인상이 추가로 진행되면 역전된 한·미 금리 간 차이로 인한 부담감이 증시 상승에 부담이 될 소지는 충분히 있다. 따라서 6월 예정된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상 금리 조정에 대한 스탠스 변화가 향후 우리 증시의 방향성을 결정지을 가능성이 크다.

6월 들어 국내 증시는 ‘쿼드러플 위칭데이’를 앞두고 현·선물 시장에서 수급상의 기조적인 매수세 유입으로 인한 개선이 엿보인다. 비록 5월 말에 유로존의 정쟁 리스크로 일시적인 매도세가 출회되고 시장이 급락을 보였으나 오히려 프로그램 차익매도 잔액이 줄어들어 만기일의 부담은 완화된 측면이 있다. 5월 말에 추가적인 하락 변동성 강화가 발생하지 않고 반등이 나오면서 선물 시장에서도 그간 우려했던 외국인의 매도세 클라이맥스는 지나가고 환매수 유입이 진행 중이다.

카카오톡에서 ‘WOW스타P2P’를 친구 추가하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