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 높은 자율운항선박 시장, 준비 서둘러야
입력
수정
“자율운항선박은 국제적으로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한국도 대응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중국보다도 뒤처지고 있는 만큼 국제해사기구 등 국제규약 제정과정에서 한국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연구팀을 강화해야 한다”
12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열린 ‘자율운항선박의 미래를 준비하는 국민토론회’에 참석한 주제발표자들은 이같이 밝혔다.이 행사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 주최,주관하고 해양수산부 후원으로 진행됐다.윤익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선임연구원은 ‘자율운항선박 기술영향 평과-자율운항선박의 미래’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자율운항선박과 조선과 해운 항만 수산 기계장비 분야의 직접적인 영향이 100조5000억원에 26만1000명에 이른다”며 “미래의 선박을 예측하고 물류와 제조의 기술적인 측면 뿐 아니라 해양안전과 법과 윤리,고용과 교육,책임과 보험 분야를 종합적이고도 시급히 파악하고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율운항선박은 인간과 기계 소통의 불확실성과 권한 부여의 어려움이 존재한다”며 “선박제조자의 책임인지 선박소유자의 책임인지,선박의 개조한 경우의 책임,부품제조자의 책임, 시스템 업데이트 과정의 오류의 책임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한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실장은 ‘국제해사기구(IMO) 자율운항선박 논의 동향’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IMO에선 자율운항선박과 관련해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은 중국과 핀란드,스웨덴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며 “한국도 제대로된 현장 실무가인 선장과 한국선급 등의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고 관련기업과 단체들이 정보를 공유해 자율운항선박과 관련한 의견을 제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는 자율운항선박 시장 규모는 2023년에 166조원에서 2035년에는 물류 선박 조선 분야까지 확대되면서 8000조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임에도 다른 조선과 해운 등의 경쟁국보다 한국은 뒤쳐져있는 만큼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주무부서들이 힘을 합쳐 대응해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도 이어졌다. 이용희 한국해양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이철중 한국선주협회 소장,원종천 현대글로벌서비스 부장,이상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권기홍 에이치라인해운 해상직원 노동조합위원장, 송승훈 한국해양대 해사수송과학부 학생과 환준성 해양수산부 미래전략팀장 등이 토론자로 나서 자율운항선박은 미래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로 다가왔다며 조선강국에 걸맞게 제대로된,신속한 대처를 해나가야한다고 강조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12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열린 ‘자율운항선박의 미래를 준비하는 국민토론회’에 참석한 주제발표자들은 이같이 밝혔다.이 행사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 주최,주관하고 해양수산부 후원으로 진행됐다.윤익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선임연구원은 ‘자율운항선박 기술영향 평과-자율운항선박의 미래’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자율운항선박과 조선과 해운 항만 수산 기계장비 분야의 직접적인 영향이 100조5000억원에 26만1000명에 이른다”며 “미래의 선박을 예측하고 물류와 제조의 기술적인 측면 뿐 아니라 해양안전과 법과 윤리,고용과 교육,책임과 보험 분야를 종합적이고도 시급히 파악하고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율운항선박은 인간과 기계 소통의 불확실성과 권한 부여의 어려움이 존재한다”며 “선박제조자의 책임인지 선박소유자의 책임인지,선박의 개조한 경우의 책임,부품제조자의 책임, 시스템 업데이트 과정의 오류의 책임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한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실장은 ‘국제해사기구(IMO) 자율운항선박 논의 동향’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IMO에선 자율운항선박과 관련해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은 중국과 핀란드,스웨덴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며 “한국도 제대로된 현장 실무가인 선장과 한국선급 등의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고 관련기업과 단체들이 정보를 공유해 자율운항선박과 관련한 의견을 제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는 자율운항선박 시장 규모는 2023년에 166조원에서 2035년에는 물류 선박 조선 분야까지 확대되면서 8000조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임에도 다른 조선과 해운 등의 경쟁국보다 한국은 뒤쳐져있는 만큼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주무부서들이 힘을 합쳐 대응해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도 이어졌다. 이용희 한국해양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이철중 한국선주협회 소장,원종천 현대글로벌서비스 부장,이상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권기홍 에이치라인해운 해상직원 노동조합위원장, 송승훈 한국해양대 해사수송과학부 학생과 환준성 해양수산부 미래전략팀장 등이 토론자로 나서 자율운항선박은 미래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로 다가왔다며 조선강국에 걸맞게 제대로된,신속한 대처를 해나가야한다고 강조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