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선거] 재선 서울교육감 1호 조희연… 진보학자서 행정가로
입력
수정
참여연대 창립 등 사회참여활동 왕성…"권위의식 없고 합리적" 평가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13일 지방선거에서 승리해 '교육감 직선제 도입 후 재선에 성공한 첫 서울교육감'이라는 이력을 추가했다.조 교육감은 대표적인 진보교육감으로 이른바 '혁신교육'을 이끌어왔다.
그가 재선에 성공함에 따라 혁신학교 확대와 서열화된 고교체제 해소 등 혁신교육 정책들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조 교육감은 1956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나 전주 풍남국민학교, 전북중학교, 서울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975년 서울대 사회학과에 입학했다.대학교 4학년 때인 1978년 5월 '유신헌법과 긴급조치를 철폐하라' 등 문구가 적힌 유인물을 제작·배포해 긴급조치 9호를 위반한 혐의로 영장 없이 구속기소 돼 징역 3년과 자격정지 3년을 선고받고 옥살이를 하기도 했다.
그는 2011년 재심을 청구해 2013년 서울고등법원에서 긴급조치 9호 위반 혐의에 무죄를 선고받았다.
1979년 광복절 가석방으로 출소한 조 교육감은 연세대 대학원에 진학해 사회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1980년대 말에는 고(故) 박현채 조선대 교수와 '한국사회 구성체 논쟁'을 정리하는 등 진보적 학문연구를 주도했다.
조 교육감은 1990년 성공회대 교수로 임용돼 1994년 종합대로 승격된 성공회대를 '진보학문의 요람'으로 만드는 '창립멤버' 역할을 했다.
그를 성공회대에 '영입'한 사람이 당시 신학 교수였던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다.두 사람은 2014년 지방선거에서 나란히 교육감에 당선돼 주목받았다.
'실천적 지식인'으로 활발한 사회활동을 펼치던 조 교육감은 1994년 9월 현 서울시장인 박원순 변호사와 참여연대를 창립하고 초대 사무처장, 합동사무처장, 집행위원장, 운영위원장 등을 지냈다.
박 시장은 지난 2월 조 교육감 출판기념회에 참석해 둘 사이를 '실과 바늘'이라고 설명했다.
사실상 '러닝메이트'라는 것이다.
조 교육감은 민주화를위한교수협의회 의장, 학술단체협의회 상임대표, 한국비판사회학회장, 한국 사회운동과 정치연구회 회장 등도 역임했다.
2014년 선거 때 조 교육감은 지지율 꼴찌에서 출발해 '신승'을 거뒀다.
하지만 선거운동 기간 경쟁후보의 미국 영주권 보유 의혹을 제기한 것이 문제가 돼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 혐의로 기소돼 당선 직후부터 위기를 겪었다.
2015년 1심에서 당선무효형인 벌금 500만원을 받았으나 2심에서 벌금 250만원의 선고유예 판결을 받았다.
2016년 대법원이 이를 확정해 직을 유지했다.
2016년 9월에는 당선 후 2년간 함께 일한 전 비서실장이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기소 돼 조 교육감이 사과하는 일도 있었다.
'권위를 내세우지 않는 사람'이라는 게 조 교육감 주변의 평가다.
교수 시절에는 학생들에게 교수라는 호칭을 붙이지 말고 '조은'이라는 별명으로 부르게 했을 할 정도라고 한다.
교육감으로서는 '합리적 행정가' 면모를 부각하고자 노력했다.
작년 6월 자사고·외고·국제중 5곳을 재지정해 소신과 다른 결정을 내렸다는 비판이 쏟아졌을 때 조 교육감은 "(재지정 여부를 결정하는) 학교운영성과 평가 시 과거와 같은 지표를 적용해 행정 합리성을 확보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자사고 폐지를 주장하는 '선출직 교육감'으로서 역할과 '행정직 교육감'으로서 역할을 분명히 구분했다는 얘기다.
/연합뉴스
그가 재선에 성공함에 따라 혁신학교 확대와 서열화된 고교체제 해소 등 혁신교육 정책들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조 교육감은 1956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나 전주 풍남국민학교, 전북중학교, 서울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975년 서울대 사회학과에 입학했다.대학교 4학년 때인 1978년 5월 '유신헌법과 긴급조치를 철폐하라' 등 문구가 적힌 유인물을 제작·배포해 긴급조치 9호를 위반한 혐의로 영장 없이 구속기소 돼 징역 3년과 자격정지 3년을 선고받고 옥살이를 하기도 했다.
그는 2011년 재심을 청구해 2013년 서울고등법원에서 긴급조치 9호 위반 혐의에 무죄를 선고받았다.
1979년 광복절 가석방으로 출소한 조 교육감은 연세대 대학원에 진학해 사회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1980년대 말에는 고(故) 박현채 조선대 교수와 '한국사회 구성체 논쟁'을 정리하는 등 진보적 학문연구를 주도했다.
조 교육감은 1990년 성공회대 교수로 임용돼 1994년 종합대로 승격된 성공회대를 '진보학문의 요람'으로 만드는 '창립멤버' 역할을 했다.
그를 성공회대에 '영입'한 사람이 당시 신학 교수였던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다.두 사람은 2014년 지방선거에서 나란히 교육감에 당선돼 주목받았다.
'실천적 지식인'으로 활발한 사회활동을 펼치던 조 교육감은 1994년 9월 현 서울시장인 박원순 변호사와 참여연대를 창립하고 초대 사무처장, 합동사무처장, 집행위원장, 운영위원장 등을 지냈다.
박 시장은 지난 2월 조 교육감 출판기념회에 참석해 둘 사이를 '실과 바늘'이라고 설명했다.
사실상 '러닝메이트'라는 것이다.
조 교육감은 민주화를위한교수협의회 의장, 학술단체협의회 상임대표, 한국비판사회학회장, 한국 사회운동과 정치연구회 회장 등도 역임했다.
2014년 선거 때 조 교육감은 지지율 꼴찌에서 출발해 '신승'을 거뒀다.
하지만 선거운동 기간 경쟁후보의 미국 영주권 보유 의혹을 제기한 것이 문제가 돼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 혐의로 기소돼 당선 직후부터 위기를 겪었다.
2015년 1심에서 당선무효형인 벌금 500만원을 받았으나 2심에서 벌금 250만원의 선고유예 판결을 받았다.
2016년 대법원이 이를 확정해 직을 유지했다.
2016년 9월에는 당선 후 2년간 함께 일한 전 비서실장이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기소 돼 조 교육감이 사과하는 일도 있었다.
'권위를 내세우지 않는 사람'이라는 게 조 교육감 주변의 평가다.
교수 시절에는 학생들에게 교수라는 호칭을 붙이지 말고 '조은'이라는 별명으로 부르게 했을 할 정도라고 한다.
교육감으로서는 '합리적 행정가' 면모를 부각하고자 노력했다.
작년 6월 자사고·외고·국제중 5곳을 재지정해 소신과 다른 결정을 내렸다는 비판이 쏟아졌을 때 조 교육감은 "(재지정 여부를 결정하는) 학교운영성과 평가 시 과거와 같은 지표를 적용해 행정 합리성을 확보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자사고 폐지를 주장하는 '선출직 교육감'으로서 역할과 '행정직 교육감'으로서 역할을 분명히 구분했다는 얘기다.
/연합뉴스